Page 149 - ele_society_6-2_tutor
P. 149
수업 참고 자료
1
1 2 차시 도법’은 극지방으로 갈수록 기존보다 면적이 상당히 줄어 단원
~
들게 된다. 실제로 아프리카 면적의 1/14에 불과한 그린
지구본
란드는 기존 지도에서는 아프리카와 같은 크기로 표현
지구를 구로 표현한 모형을 말한다. 평면에 그린 지도 되었지만 새로운 지도에서는 대폭 축소되었다. 또 남아
는 거리, 면적 등을 모두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하지만, 메리카 대륙의 절반 수준인 유럽 대륙이 지금까지는 매
지구본은 위치, 거리, 면적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나타 우 크게 그려졌지만 새 지도에서는 작게 수정되었다. 멕
낼 수 있다. 지구본은 지축과 같이 수직 방향으로 23.5° 시코보다 작은 알래스카도 기존에는 멕시코보다 3배 이상
기울어져 있으며, 북극점과 남극점 부분에 지지대가 받 크게 그려졌지만 이번에 크기가 많이 줄었다. 새로운 세
침대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계 지도에는 동해, 독도 등 우리 영토는 물론이고, 남극과
북극에 있는 우리나라의 과학 기지도 표시되어 있다.
지도
- 『동아일보』, 2011. 11. 22. -
지도는 지표면의 지리 정보를 한눈에 읽을 수 있도록
실제 지표면을 일정한 비율로 줄여 종이에 나타낸 가장
해양수산부가 만든 거꾸로 세계 지도
오래된 지리 정보 도구이다. 지도에는 다양한 지리 정보
해양수산부가 남반구를 위쪽에, 북반구를 아래쪽에
가 담겨 있어 필요와 목적에 따라 유용한 정보를 쉽게 얻
각각 배치한 ‘거꾸로 세계 지도’를 만들었다. 남반구가
을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다른 도구보다 값이 싸면서
위쪽에 배치된 거꾸로 세계 지도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가지고 다니기에 편리하여 오늘날
드넓은 태평양이 지도 가운데 펼쳐져 있다. 기존 세계 지
에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가 대륙을 중심으로 제작된 데 비해 거꾸로 세계 지도
국토지리정보원이 제작한 새로운 세계 지도 는 지구 표면적의 70 % 이상을 차지하는 바다를 중심으
로 하여 ‘대륙 중심’에서 ‘해양 중심’으로 관점의 대전환
국토지리정보원은 새로 제작한 세계 지도를 공개하고
을 이끌게 될 것이다.
인터넷 누리집을 통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새로 제작
한 세계 지도는 기존 지도의 대륙별 모양과 면적의 왜곡
현상을 수정한 것이다.
▲ 해양수산부가 만든 거꾸로 세계 지도
북반구가 위에 있는 일반적인 지도를 처음 뒤집은 사
람은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튜어트 맥아더로 알려져 있
다. 국내에서는 1996년에 거꾸로 세계 지도가 처음 나왔
지만, 남극 대륙과 북극해가 자세히 표현되지 않았다.
이번에 만들어진 거꾸로 세계 지도는 이러한 문제점을
▲ 메르카토르 도법(위)과 로빈슨 도법(아래)으로 나타낸 세계 지도 보완하면서 우리나라가 개척한 해운 항로, 원양 어업 기
기존의 세계 지도는 ‘메르카토르 도법’으로 제작하여 지, 극지 항로, 남극과 북극의 과학 기지 등을 표기해 전
극지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실제보다 커지는 왜곡 현상 세계로 뻗어 나가는 해양력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하였다.
이 나타났다. 하지만 이번 새 지도 제작에 적용된 ‘로빈슨 - 『경향비즈』, 2017. 8. 8. -
147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