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1 - ele_society_6-2_tutor
P. 151

많다. 하지만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남반구와 북반구 대신                     육지가 없는 북극의 경계                                 1
                 다르게 잘라 볼 수도 있다. 본초 자오선을 경계로 동반구와                   남극 대륙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남극은 대륙 위에
                                                                                                                   단원
                 서반구로 잘라 보면 조금 더 색다른 지구를 볼 수 있다.                  얼음이 깔려 있어 흰 대륙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런데 이

                   프랑스의 낭트를 중심으로 지구를 바라보면 지구 전                    와 마찬가지로 흰 육지가 이어져 있는 듯 보이는 북쪽의 극
                 체 육지의 85 %가량이 한눈에 보인다. 반면 뉴질랜드의                  지, 즉 북극은 북극권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앤티퍼디스 제도를 중심으로 한 반대편은 바다의 비율                       정의하자면 ‘북위 66° 33′ 이북이며, 일 년 중 낮 시간
                 이 무려 90 %에 달해 육지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독일                 이 가장 긴 하지에는 태양이 지지 않고, 밤 시간이 가장
                 의 지형학자 알브레히트 펭크(Albrecht Penck)는 이러한             긴 동지에는 태양이 지평선 위로 드러나지 않는 지역’을
                 반구 모양에 육반구와 수반구라는 이름을 붙였다. 하지                    북극권이라고 한다.
                 만 육반구에서조차 육지보다 바다의 비율이 높다.                         지리학자 중에서는 ‘삼림 한계선의 북쪽 지방’을 북극
                      - 서지선, 『풀코스 세계 지리』, 이담북스, 2020, 71~73쪽 -
                                                                  지역으로 보는 사람이 많다. 삼림 한계선이란 추운 곳에
                                                                  서 자라는 침엽수림조차 보이지 않고, 이끼와 풀만이 남
                    대양과 대륙의 명칭
                                                                  아 있는 지대와의 경계선을 가리킨다.
                   태평양은 라틴어로 평온한 바다라는 뜻을 가진 ‘Mare                 - 롬 인터내셔널, 『한눈에 꿰뚫는 세계 지도 상식 도감』, 이다미디어,
                 Pacificum’에서 유래하였다. 16세기에 항해가 마젤란이                                             2019, 341~342쪽 -
                 인류 최초로 세계 일주 항해에 도전하여 태평양에 다다랐
                 을 때 잔잔한 바다에 감동하여 그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지구상의 5번째 대양, 남극해
                 대서양은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아틀라스의 바다                      국제수로기구(IHO)의 현재 정의에 따르면 세계에는 태

                 (Sea of Atlas)’라는 뜻이며, 인도양(Indian Ocean)은 인도     평양, 대서양, 인도양 그리고 북극해의 네 개의 대양만 있
                 라는 이름이 그대로 바다 이름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북                  다. 그러나 과학 문헌에서 독립적인 수역으로 오랫동안
                 극해는 말 그대로 북극의 바다를 뜻하며, 지역별로 ‘북쪽                  언급되어 왔지만 공식적인 지위가 논란의 여지로 남아 있
                 의 얼음 바다’, ‘북쪽 바다’라고 불렸다고 한다. 북극의 영               는 대양이 있다. 바로 남극해이다. 남극해는 통상 남극 대
                 어 단어인 Arctic은 고대 그리스인들이 북쪽 지방을 아르                륙 해안선부터 남위 60° 지점까지 이르는 바다를 말한다.
                 티코스(arktikós)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남극을 뜻하                내셔널지오그래픽협회(National Geographical Society)
                 는 Antarctica는 Arctic에 ‘반대’를 뜻하는 접두사 ant를 붙       는 공식적으로 남극해를 세계의 다섯 번째 대양으로 인
                 여 만든 단어로 ‘북극의 반대쪽’이라는 뜻이다.                       정하였다. 하지만 모든 바다의 이름을 지정하는 국제수
                   아시아는 그리스 사람들이 그리스의 동쪽을 가리킬                     로기구는 여전히 동의하지 않고 있다.

                 때 쓴 ‘아수(asu, 동쪽)’라는 아시리아어에서 유래하였                   국제수로기구는 남위 60° 인근을 따라 도는 남극 환류
                 다. 유럽은 메소포타미아 지방에 살았던 사람들이 단순                    를 경계로 하여 생태계가 북쪽의 바다와 크게 다른 특징
                 히 서쪽의 땅, 해가 지는 곳이란 뜻을 가진 ‘에레브(ereb)’             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1937년에 남극해를 세계 대양
                 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고대 로마 사람들은 북아프                   에 공식적으로 포함하였다. 그러나 다른 대양은 육지 크
                 리카 지방, 즉 오늘날의 튀니지에 해당하는 곳을 아프리                   기로 구분되어 있지만 남극해는 말 그대로 태평양, 대서
                 (Apri)  지방이라고  불렀다.  오스트레일리아는  라틴어               양, 인도양으로 흘러가는 것처럼 보인다는 회원들의 견
                 ‘테라’와  ‘스트레일리스(남방의  대륙)’에서  비롯되었다.               해를 인정하여 1953년에 이것을 뒤집었다.

                 아메리카 대륙은 이탈리아인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이름                       올해 남극해에 관한 논쟁이 다시 벌어졌다. 미국 해양
                 에서 따왔다. 콜럼버스는 아메리카를 인도로 알았으나,                    대기청(NOAA)은 2021년 2월에 남극해를 세계 대양으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이 땅이 신대륙임을 공개 발표하                     로 인정하였고, 2021년 6월 8일에 내셔널지오그래픽협
                 였기 때문이다.                                         회가 그에 따라 지도와 분류를 공식적으로 조정하였다.
                     - 『YTN사이언스』, 2016. 7. 26. / 『아웃소싱타임스』, 2020. 1. 15. -            - 『더사이언스플러스』, 2021. 6. 16. -


                                                                                                         149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