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ele_society_6-2_tutor
P. 46

동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대한민국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6사 04- 01], [6사 04- 02]에서는 영·정조 시기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
                                 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하고, 사회 개혁의 필요성을 주장하
                                 고 그 실현을 위해 노력했던 옛사람들의 활동을 탐색하도록 한다.
                              •   [6사 04- 03], [6사 04- 04]에서는 일제의 침략에 맞서 광복을 찾기 위해 노력한 인물
                                 의 활동을 살펴본다. 또한 광복 이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의 과정 및 의의를 파악하고,

                                 6 · 25 전쟁의 원인과 과정 및 그 영향을 탐구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에 대한 역사 글쓰기를 통해 당시 사회상과 개혁 정치의 의
                                 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역사 글쓰기는 영·정조의 시각에서 개혁 정치가 필요한 이유
                                 와 구체적인 개혁 조치를 서술하거나 신하의 입장에서 개혁의 필요성을 논하는 글을
                                 쓰게 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   조선 후기 서민 문화에 대하여 학습할 때에는 판소리, 탈춤과 관련된 사진 및 동영상
                                 자료, 민화 등을 이용하여 당시 사람들의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   광복을 위하여 노력한 인물들의 활동이나 6·25 전쟁을 설명할 때에는 다큐멘터리와
                                 사진 등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학습한 사건이나 인물을 역사 신문의 형식으

                                 로 정리하여 발표하게 할 수 있다.
                              •   옛날 어린이들의 생활과 관련된 민화, 풍속화 등의 자료를 제공하여 당시의 생활 모
                                 습을 파악하도록 안내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서술형 평가, 보고서법 등을 활용하여 조선 후기부터 6·25 전쟁에 이르기까지의 인물
                                 및 주요 사건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   역사 글쓰기의 경우 사건의 전후 관계 또는 당시의 시대상을 맥락적으로 이해하고 있
                                 는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   프로젝트법을 활용할 경우 주요 인물 및 사건과 관련된 역사 신문 만들기 등의 과제

                                 를 부과하여 평가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역사 글쓰기를 평가할 때는 당시 사회상을 이해하였는지의 여부와 사회 개혁의 방향
                                 을 논리적으로 제시하였는지를 주로 살펴본다.

                              •   역사 신문 만들기를 평가할 때에는 역사적 인물과 사건 등을 당대 시대적 흐름과 관
                                 련지어 이해하고 있는지 평가하도록 한다.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이 단원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통해 시민의 정치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


           44   총론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