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 - ele_society_6-2_tutor
P. 43

(3)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이 단원은 고대 시기부터 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과 대표적

                                    문화유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역사 속에 드러나는 사회 변화의 특징
                                    과 중요한 사건들을 이해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고대 국가 발전에 기여한 인물
                                    의 활동과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본다. 또한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에 기여한 인물
                                    의 업적을 탐구하고 고려의 대표적 문화유산을 통해 당시의 과학 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아울러 조선 건국에 공헌하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의 업적을 통해 정치

                                    와 민족 문화의 발전상을 탐색하며, 대표적인 유적지와 인물의 활동을 통해 국가적 위기
                                    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나라의 등장과 발전>


                                      [6사  03-  01]   고조선의 등장과 관련된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고, 고대 시기 나라의 발전에 기
                                                 여한 인물(근초고왕, 광개토 대왕, 김유신과 김춘추, 대조영 등)의 활동을 통하
                                                 여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탐색한다.
                                      [6사  03-  02]   불국사와 석굴암, 미륵사 등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대 사람들이 이룩
                                                 한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6사  03-  03]   고려를 세우고 외침을 막는 데 힘쓴 인물(왕건, 서희, 강감찬 등)의 업적을 통하
                                                 여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6사  03-  04]   고려청자와 금속 활자, 팔만대장경 등의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려 시대 과학 기
                                                 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사  03-  05]   조선을 세우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성계, 세종 대왕, 신사임당 등)의
                                                 업적을 통해 조선 전기 정치와 민족 문화의 발전상을 탐색한다.
                                      [6사  03-  06]   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기의 극
                                                 복 과정을 탐색한다.


                                    (가) 학습 요소
                                    •   고대 국가의 성장과 문화 발전, 고려의 건국과 외침 극복, 고려의 문화와 과학 기술,

                                       조선 전기 정치와 문화 발전, 조선의 외침 극복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41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