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ele_society_6-2_tutor
P. 57
있는 학습 활동의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한다.
• 평면의 세계 지도와 더불어 지구본을 활용함으로써 세계에 대한 인식의 왜곡을 최소
화하는 것에 특히 유의한다.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세계지리 학습의 평가에서는 선다형이나 서술형 평가가 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소재나 화제 중심의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사실 지식의 문항 구성을 지양하고 지역 중
심의 통합적인 문항을 구안하도록 한다. 아울러 선다형 평가에서도 주제도나 그래프
자료 등 다양한 자료의 해석 능력을 통하여 세계지리의 이해도를 평가하도록 한다.
• 프로젝트법을 평가에 활용할 때는 새로운 형태의 세계 지도 만들기, 세계 여행 설계
하기, 세계의 자연과 문화를 소개하는 웹 자료 작성하기, 동아시아 연합 구상하기 등
을 프로젝트 과제로 제시할 수 있다.
• 세계지리 학습에서는 지식 영역 이외에도 도해력을 포함한 다양한 기능 영역(지구본
에서 경도와 위도 특성 알아내기, 세계 백지도 완성하기, 지도 퍼즐 맞추기, 기후 지
역별 각종 이미지 만들기, 기후 지역별 전형적인 경관 사진을 적도에서 극지방 순서
로 배열하기, 각국의 전통 복식이나 가옥 사진을 세계 지도상 해당 국가의 위치에 놓
기, 세계 각 국가나 이웃 3국의 지리 특성 비교표 작성하기 등)을 평가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세계지리 학습의 평가를 위한 과제 개발이나 문항 구성에서는 텍스트 자료보다는 주
제도나 사진 자료의 활용도를 높임으로써 공간적인 시각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 세계지리 학습의 평가에서는 세계에 대한 조망, 지구 생태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인
간 생활의 다양성 등에 초점을 두어 평가하도록 한다.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이 단원은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우리나라의 고유 영토인 독도에 대한 영토 주권 의식
을 기르며, 남북통일을 위한 노력과 과제를 살펴보며, 지구촌의 다양한 갈등 사례와 지
속 가능한 미래 건설의 과제를 탐색함으로써 통일 한국의 미래를 구상하고 지구촌 평화를
위해 노력하는 세계 시민의 자세를 기르기 위하여 설정되었다. 이를 위해 독도를 지키려
는 그동안의 노력과 독도의 지리적인 특성을 파악하고, 남북통일을 위한 노력과 지구촌
평화에 기여하는 통일 한국의 모습을 살펴본다. 아울러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을 위협하
는 요인과 이의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지속 가능한 지구촌을 건설하기 위한 과제를 탐색
한다.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
[6사 08- 01] 독도를 지키려는 조상들의 노력을 역사적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독도의 위
치 등 지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영토 주권 의식을 기른다.
1.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