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1 - ele_science_4-2_tutor
P. 201

겉으로 보기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동적 평형 상태에 도달한다. 이
                     평가 목표    물이 끓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상태에서 증기가 나타내는 압력을 증기 압력이라고 한다.
                              물이 표면과 물속에서 수증기로 변한다는 내용
                     인정 답한
                              이면 정답으로 인정한다.
                                                                  ➋ 우리 주변에서 물의 증발이 일어나는 예                          2
                                       평가기준            배점(%)
                                                                  • 어항 속의 물이 줄어든다.                                 단원
                              물의 높이가 변한 까닭을 끓음과 관련
                                                        100       •가뭄으로 논바닥이 갈라진다.
                              지어 옳게 설명한 경우
                     유의 사항                                        •더운 여름날 길에 뿌린 물이 마른다.
                              물의 높이가 변한 까닭을 끓음과 관련
                              짓지 못하고 물의 상태가 변했기 때문      50        •비온 뒤에 생긴 물웅덩이가 사라진다.
                              이라고 설명한 경우                          •촉촉한 밥이 시간이 지나면 말라서 굳는다.
                    풀이  물을 가열하면 증발과 끓음이 일어나 물이 수증기로 변하
                                                                  ➌ 끓는점
                   면서 물의 양이 줄어든다.
                                                                   액체가 끓어 기체로 상태 변화 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를 끓는점이라고 한다. 액체가 끓는 동안
                 참고   자료
                                                                  에 가해 준 열에너지를 물질의 온도를 올리는 데 사용
                 ➊ 증발과 끓음                                         하지 않고 상태 변화 하는 데 사용하므로 물질의 온도
                  기화는 크게 증발과 끓음으로 나뉜다.                            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의 기준
                 • 증발: 액체 표면에서 액체가 기체로 변하는 현상이                    끓는점(normal boiling poin&t)은 1`기압에서 100`*C
                   다. 액체 표면에 있는 분자의 일부가 다른 분자와의                   이다.
                                                                              온
                   인력을 이기고 공기 중으로 날아가기 때문에 나타난                                도

                   다. 증발은 끓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일어난다.                               C   끓기 시작
                                                                             (    )
                                                                                         기화
                   액체 표면에 있는 분자는 액체 내부에 있는 분자보다
                                                                          끓는점
                   주변 분자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낮은 온도에서도
                   기체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증발은 기온이 높을수                                 액체     액체+기체      기체
                   록, 습도가 낮을수록, 바람이 잘 불수록, 액체의 표면                             0                 시간(분)
                   적이 넓을수록 잘 일어난다. 또, 액체 상태에서 분자                            ▲ 액체 물질을 가열할 때의 온도 변화
                   간 인력이 작은 물질일수록 잘 일어난다.
                                                                  ➍ 물이 끓기 전과 끓을 때 물속에서 생기는 기포
                 • 끓음: 액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증기 압력이 점점 커
                                                                   물속에도 매우 적은 양이지만 공기가 녹아 있다. 물
                   지는데, 액체의 증기 압력이 외부 압력과 같아지면
                                                                  을 가열하여 온도가 점점 높아지면 물에 녹아 있던 공
                   액체의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에서도 기포가 발생하
                                                                  기가 공기 방울의 형태로 밖으로 빠져나간다. 물에 녹
                   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끓음이라고 하며, 이때의 온
                                                                  아 있던 공기가 다 빠져나간 뒤에 물의 온도가 끓는점
                   도를 해당 압력에서의 끓는점이라고 한다.
                                                                  에 이르면 물 내부에서 큰 기포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공기가 아니라 기체인 수증기가 모여 방울을 형성한 것
                                                                  이다.






                                                                                                  기포
                        ▲ 증발                     ▲ 끓음

                 보충  증기 압력
                 일정한 온도에서 밀폐된 용기에 액체를 담아 놓았을 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액체 표면에서 증발하는 분자 수와 응축하는 분자 수가 같아져                      ▲ 물이 끓기 전에 물속에서 생기는 기포

                                                                                     2   물과 수증기의 변화       199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