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6 - ele_science_4-2_tutor
P. 196
6~7 10 차시 『과학』 44 쪽~47 쪽 『실험 관찰』 30 쪽~31 쪽
물 표면에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우리 주변에서 증발과 끓음의 예 찾기
활동 의사
증발이라고 합니다. 입구를 막지 않은 비커 안에 든 물의 양이 줄어 소통
드는 까닭은 물이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흩어졌기 때문입니다. 두 그림을 보고 다른 부분을 찾아 ○표 해 봅시다. 표시한 부분에서 나타 준비물
나는 현상을 물의 증발이나 끓음과 관련지어 이야기해 봅시다.
필기도구
물이 증발하여
젖은 빨래가 마르는 모습
물을 가열하면 처음에는 표면의 물이 증발합니다. 물을 계속 가열
기포 하면 물속에서 기포가 생기는데, 이 기포는 물이 수증기로 변한 것
기포는 액체나 고체에 둘러
싸인 기체 방울입니다. 입니다. 이처럼 물 표면과 물속에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끓음이라고 합니다. 물이 끓을 때에는 증발할
때보다 수증기로 더 빨리 변해 물의 양이 빠르게 줄어듭니다.
도우미
물이 끓는 모습 고추나 오징어와 같은 음식
재료를 말리면 어떤 점이 좋을
까요?
음식 재료에 있는 물을 증발
시키면 수분 때문에 음식이
상하는 것을 막아 오랫동안
물 보관할 수 있습니다.
수증기
확인해요
1 물 표면에서 물이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 )(이)라 하고,
물 표면과 물속에서 물이 수증기로 상태가 변하는 현상을 ( )(이)
라고 합니다.
2 의사 젖은 빨래가 마르는 현상과 물이 끓는 현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친구
소통
들과 함께 이야기해 봅시다.
46 2 물과 수증기의 변화 47 47
46 2. 물의 상태 변화
초등과학4-2_②단원(35~54)OK - 복사본.indd 46 2022-07-14 오전 11:27:11 초등과학4-2_②단원(35~54)OK - 복사본.indd 47 2022-07-14 오전 11:27:11
과학과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법 ➋ 새로운 개념 구성하기
• 과학적 사고력 물이 증발할 때와 끓을 때 어떤 특징이 있는 • 입구를 막은 비커와 입구를 막지 않은 비커에서 15
지 비교해 보게 한다. 분 후, 1`일 후에 어떤 변화가 생겼나요?
• 과학적 탐구 능력 물이 증발할 때와 끓을 때 같은 시간 동안 - 15 분 후에 입구를 막은 비커와 입구를 막지 않은
물의 높이가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하여 물의 증발과 끓 비커 속 물의 높이가 같습니다.
음의 차이점을 파악하게 한다.
- 1 일 후에 입구를 막지 않은 비커 속 물의 높이가
낮아졌습니다.
평가기준 예시_관찰 평가(참여도 평가) 수업 도우미 1`일 후에 입구를 막은 비커 안쪽에 김이 서린 모습을
볼 수도 있다. 입구를 막은 비커 안에서도 증발이 일어났지만 공기 중
방법 요소 평가기준 상 중 하
으로 흩어지지 못해 물의 양은 거의 변함이 없음을 안내한다.
탐구 과정에서 안전에 유의하였는가?
물이 증발할 때와 끓을 때의 특징을
태도 처음
관찰하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 처음
물의 물의
관찰 였는가? 높이 높이
평가 물이 증발할 때와 끓을 때의 특징을 ▲ 15`분 후 ▲ 1`일 후
탐구
관찰하였는가? • 물 표면에서 액체인 물이 기체인 수증기로 상태가 변
물의 증발과 끓음을 비교하여 차이점 하는 현상을 증발이라고 합니다.
지식
을 설명할 수 있는가? • 입구를 막지 않은 비커 안에 든 물의 높이가 변한 까
평가 피드백 『실험 관찰』에 제시된 평가 이외에도 필요한 평가 요소에 닭은 무엇일까요?
따라 평가기준을 추가하여 평가할 수 있다. - 물이 증발하여 공기 중으로 흩어졌기 때문입니다.
194 2. 물의 상태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