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ele_science_4-2_tutor
P. 213
평생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학습
돌을 쌓아 만든 얼음 창고 ‘석빙고’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석빙고에 숨어 있는 우리 조상
들의 지혜를 찾아봅시다. 2
오늘날에는 냉장고를 이용하여 무더운 여름철에도 얼음을 보관
지도 방향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석빙고를 검색해 보고, 석빙고에 단원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냉장고가 없었던 옛날에는 어떻게 얼음을
보관하였을까요? 우리 조상들은 독특한 모양으로 돌을 쌓아 얼음을
숨어 있는 과학적인 방법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
보관할 수 있는 창고인 석빙고를 만들었습니다. 겨울에 강이나 호수
에서 얼음을 채취한 뒤 석빙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여름에 꺼내 사용 예시 답안
하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 아직 남아 있는 석빙고에 방문하여
• 바닥을 살짝 기울어지게 만들어서 얼음이 녹은 물이 빠져나갈 수
석빙고의 생김새를 살펴봅시다.
있게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경상북도 경주시,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 등에 석빙고가 • 천장에 환기 구멍을 만들어서 더운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하였다.
있어요. 누리망에서 가 보고 싶은 석빙고를
찾아봐요.
• 입구에 날개벽을 세워 찬 바람이 석빙고 내부로 잘 들어갈 수 있게
하였다.
• 석빙고의 바깥쪽은 잔디를 심어 빗물과 햇볕의 뜨거운 열을 막았다.
평가기준 예시_관찰 평가
방법 요소 평가기준 상 중 하
우리 조상들이 물의 상태 변화를 일상
생활에 적용한 것에 흥미를 느꼈는가?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태도 친구들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자신이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석빙고에 숨어 있는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찾아봅시다. 관찰
석빙고에 대해 알게 된 사실을 설명
54 평가 하였는가?
54 2. 물의 상태 변화
석빙고의 구조, 조상들이 석빙고를 활
탐구
초등과학4-2_②단원(35~54)OK - 복사본.indd 54 2022-07-14 오전 11:27:30
용했던 방법 등을 설명할 수 있는가?
돌을 쌓아 만든 얼음 창고 ‘석빙고’ 평가 피드백 탐구 수행 과정에서 태도, 탐구를 상중하로 구분하여 간
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참고 자료
• 석빙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석빙고의 역사
• 석빙고를 방문하여 물의 상태 변화를 일상생활에 이용한
조상들의 지혜를 체험할 수 있다. 삼국 시대의 역사를 담은 『삼국유사』에는 신라의 제3
대 왕인 유리왕 때 얼음 창고를 지었다는 기록이 있다.
핵심역량 활동
조선 시대에는 서울 한강 주변에 동빙고와 서빙고를 만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석빙고를 견학하며 알게 된 사실을 설명
들었다. 동빙고와 서빙고는 정식 관청이었으며, 지방에
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기른다.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석빙고를 방문하여 석빙고의 구조, 도 여러 곳에 얼음 창고가 설치되었다. 현재까지 남아
조상들이 석빙고를 활용했던 방법 등을 알아보는 과정에 있는 석빙고(돌로 만든 얼음 창고)로는 가장 잘 보존된
서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을 기른다. 경주 석빙고를 비롯하여 안동 석빙고, 창녕 석빙고, 청
지도상의 유의점 도 석빙고, 현풍 석빙고, 영산 석빙고 등이 있다. 목재로
만든 서울의 동빙고와 서빙고는 현재 남아 있지 않다.
• 석빙고를 방문하기 전에 석빙고의 위치를 확인하고, 석빙
고에 대해 미리 조사하여 스스로 방문 계획을 세울 수 있 서울의 동빙고와 서빙고는 1396`년(태조 5`년)에 목
게 한다. 조로 만들어졌다. 동빙고는 지금의 성동구 옥수동에 있
• 석빙고에 직접 방문하여 알게 된 사실을 글이나 사진으로 었고, 서빙고는 지금의 용산구 서빙고동에 있었다. 현재
기록하도록 지도한다. 동빙고동이라고 불리는 곳은 동빙고가 있었던 곳이 아
• 방문 시 유의 사항을 안내하여 유익한 활동이 되게 한다. 니라 서빙고동의 동쪽이라는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2. 물의 상태 변화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