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3 - ele_science_4-2_tutor
P. 323
2 다음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➋ 우리나라의 지진
봅시다. 우리나라는 지진계를 설치한 1905 년을 기준으로
1905 년 이전까지 발생한 지진을 역사 지진, 1905 년
( )은/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낸다. 4
이후에 발생한 지진을 계기 지진이라고 한다.
( )의 숫자가 클수록 강한 지진이다. 단원
• 역사 지진: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
( 규모 ) 의 문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서기 2 년 고구려 유
리왕 때 “8월에 지진이 났다.”라는 기록을 시작으로
평가 목표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를 설명할 수 있다. 1904 년까지 2000 건 이상의 기록이 남아 있다.
규모는 지진의 세기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단위
지도 사항 시기 기록으로 본 피해 내용
임을 알게 한다.
27 년 백제 10 월에 지진이 일어나 집이 무너졌다.
풀이 규모의 숫자가 클수록 강한 지진이다.
경주에서 지진으로 백여 명의 사망자가
779 년 통일 신라
발생했다.
3 지진이 우리 생활에 주는 피해를 두 가지 설명해 봅
1260 년 고려 큰 지진이 일어나 담장과 집이 무너졌다.
시다. 개성의 피해가 가장 컸다.
예시 답안 • 떨어지는 물건에 부딪혀 사람이 다친다. 담장과 성벽이 무너지고 도성 안의 사람
1518 년 조선 들이 밤새 노숙을 하며 집에 들어가지 못
•건물에 금이 가거나 건물이 부서진다.
했다.
•도로가 끊어진다.
강원도에 지진과 함께 지진 해일이 발생
1681 년 조선
평가 목표 지진이 우리 생활에 주는 피해를 설명할 수 있다. 했다.
지진에 의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에 대한 내용 출처: 『한국 기상기록집➋ 한반도 역사지진 기록(2 년 ̄1904 년)』,
인정 답한 기상청(2012)
을 두 가지 쓰면 정답으로 인정한다.
평가기준 배점(%) • 계기 지진: 2016`년 9.12 지진(경주 지역), 2017`년 포
지진이 우리 생활에 주는 피해 두 가 항 지진을 제외하고 큰 피해가 발생한 지진은 1978`년
100
유의 사항 지를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홍성 지진(규모 5.0)이다. 이때 건물, 유리창, 문화재 등이
지진이 우리 생활에 주는 피해 한 가 파손되고 일시적으로 정전이 일어났다. 그 외에 1936`년
50
지만 모두 옳게 설명한 경우
쌍계사 지진(규모 5.1), 1996`년 영월 지진(규모 4.5),
풀이 지진은 인명과 재산에 많은 피해를 준다. 2007`년 오대산 지진(규모 4.8)이 있다.
참고 자료
➊ 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
• 규모: 지진으로 방출된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➌ 지진 해일(쓰나미)
이다. 따라서 같은 지진이라면 지진이 발생한 지점으 수심 1 km 이상의 해저에서 지진이 발생할 때 생기
로부터의 거리와 관계없이 규모는 일정하다. 일반적 는 매우 거대한 파도를 지진 해일(쓰나미)이라고 부른
으로 리히터 규모를 사용하며 아라비아 숫자로 소수 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해일이 다가오면
첫째 자리까지 표시한다.( 규모 3.4) 서 파고가 점점 높아지기 때문에 해안가에 큰 피해를
• 진도: 지진이 발생했을 때 사람이 느끼는 정도와 주 입히기도 한다.
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표현 우리나라에서는 1983 년과 1993 년 일본에서 일어
한 단위이다. 따라서 진도는 같은 지진이라도 진앙 난 지진으로 인해 동해안 지역에 지진 해일이 발생한
거리, 진원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우리나라는 기록이 있다. 특히 1983 년 지진 해일로 인해 최대 4.2 m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로 높이의 파도가 해안가를 덮쳐 배 90여 척이 파괴되고
마 숫자 Ⅰ부터 ⅩⅡ까지로 나타낸다. 인명 피해도 발생했다.
2 지진 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