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9 - ele_science_4-2_tutor
P. 359

➎ 인간의 생존에 필요한 물
                           0 C
                                                         빙정                 수증기
                                                  큰                우리 몸의 약 70`%는 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몸
                          물방울                    물방울  -40 C
                                                                  을 돌고 도는 혈액은 물론 심장, 간, 근육 등의 기관도
                                                                           빙정                                      5
                                                작은                대부분 물이 차지하고 있다. 물은 우리 몸에서 산소, 영                  단원
                                                물방울                   눈      과냉각
                                                                             물방울
                                                                  양소, 노폐물 등을 운반하며, 체온과 혈압 유지, 전해질
                                                       0 C        의 농도 조절 등 다양한 신진대사에 관여한다. 다른 생
                                                                             물방울
                                                                    빗방울
                                      빗방울                         명체와 마찬가지로 인간은 몸속에 일정한 양의 물을 유
                                                                  지해야 한다. 몸속의 수분이 1`% ̄2`% 정도 줄어들면
                                               지표면                          지표면
                                                                  목마름을 느끼고, 10`% 정도 줄어들면 목숨을 잃을 만
                                    ▲ 병합설
                                                                  큼 위험한 상태가 된다.
                 ⑵ 빙정설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에서 비나 눈이 내리는 현상을                    ➏ 지하수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들 지방에서 만들어지는 구름은
                                                                   지하수는 말 그대로 땅속에 있는 물로, 대부분 비나
                 온도가 0`*C보다 낮아서 과냉각 물방울과 빙정이 함께
                                                                  눈 등이 땅속으로 스며들어 형성된다. 빗물이 지층의
                 존재한다.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승화되
                                                                  빈틈으로 스며들어 땅속으로 내려가면 지하수가 된다.
                 어 빙정에 달라붙어 빙정이 성장하게 되고, 빙정이 점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제주도가 빗물이 잘 침투하는 화
                 점 커지고 무거워지면 눈이 되어 내린다. 이때 지상의
                                                                  산암 지역이므로 지하수가 잘 발달되어 있다.
                 기온이 낮으면 그대로 눈이 되어 내리고, 지상의 기온이                   ⑴ 지하수의 이동
                 높으면 눈이 녹아 비가 되어 내린다. 즉, 빙정설은 구름                   지표에서 흐르는 물은 눈으로 볼 수 있어서 그 모습을
                 속의 빙정이 성장하여 눈이나 비가 내린다는 이론이다.                    쉽게 확인할 수 있지만, 땅속에 있는 지하수는 그렇지


 0 C                          빙정                 수증기              않다. 지하수가 지표를 흐르는 물처럼 땅속의 동굴형 통
                      큰                                           로를 따라 강처럼 흐른다고 생각하는 것은 흔한 오개념
 물방울                 물방울   -40 C
                                                                  이다. 물론 동굴이나 광산에서는 지하수가 강처럼 흐르
                                               빙정
                     작은                                           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지하수는 암석의 깨진 틈
                    물방울                   눈       과냉각
                                                  물방울             이나 토양의 빈틈에 존재하고, 틈과 틈 사이를 아주 느
                           0 C
                                                 물방울              리게 이동한다. 지하에는 셀 수 없이 많은 미세한 틈이
                                        빗방울
          빗방울                                                     토양과 퇴적물 입자 사이에 존재하고, 기반암에는 암석
                                                                  이 깨지거나 갈라진 틈이 존재한다. 이러한 공간들이 모
                   지표면                           지표면
                                                                  두 합쳐지면 엄청난 부피를 가지게 되는데, 지하수는 바
                                    ▲ 빙정설
                                                                  로 이러한 틈을 통해서 모이고 이동하게 된다.
                                                                  ⑵ 지하수의 오염과 이용
                 ➍ 증산 작용                                           땅속에 스며든 물이 지나가는 다공성 매질이 정수기
                  식물이 뿌리로 흡수한 물을 잎의 기공을 통해 수증기                    필터 같은 역할을 하므로 지하수는 식수로 이용될 만큼
                 상태로 내보내는 과정을 말한다. 증산 작용은 뿌리가 계                   깨끗하다. 그러나 지하수는 이동 속도가 매우 느리고,
                 속해서 물을 흡수할 수 있게 해 주며, 증산 작용이 일어                  지표로부터 물을 새로 공급받는 과정이 오래 걸리므로

                 날 때 주위의 열을 흡수하므로 식물의 체온 상승을 막아                   지하수가 한번 오염되면 회복하기 매우 힘들다.
                 준다. 또, 여분의 물을 배출하여 식물체 내의 수분량을                    우리나라는 연간 29.1억 m^3 정도의 지하수를 이용하
                 조절하고, 식물체 내 농도를 유지하게 한다. 증산 작용                   고 있다. 지하수 이용 시설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은 생활
                 은 주위 온도가 높고 햇빛이 강할 때, 바람이 잘 불고 습                 용수 관련 시설이지만, 이용량은 농업용수가 가장 많다.
                 도가 낮을 때, 식물체 내 수분량이 많을 때 잘 일어난다.                               출처: 국가지하수정보센터(www.gims.go.kr)

                                                                                             1   물의 순환       357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