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8 - ele_science_4-2_tutor
P. 358
⑵ 지구상에 존재하는 물의 분포 한편, 물은 순환하지만 지구 전체 물의 양은 변하지
지구상의 물은 바다, 빙하, 강, 호수, 대기, 토양, 생 않는다. 육지, 바다, 대기는 모두 들어오는 물의 양과
명체 등 어디든지 존재한다. 지구상에 분포하는 물 중 나가는 물의 양이 같은 평형 상태를 이루고 있다.
약 97.47`%가 염수(여러 가지 물질이 녹아 있어 짠맛 대기 중 수분
바다에서 육지로
이 나는 물로, 사람이 바로 마실 수 없는 물)이고, 약 바람에 의한
수증기 이동
2.53`%가 담수(짜지 않은 물)이다. 또, 담수는 대부분
만년설과 육지에서의 강수
빙하와 만년설, 지하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표면을
바다에서 빙하
흐르는 호수, 하천 등의 지표수와 대기에 존재하는 물 의 강수 바다로부터 증발+증산
증발
을 모두 더해도 0.01`%에 불과하다. 지하로 침투
담수 2.53 % 지표수 강과 호수
(약 3천5백만 km ) 3 유출 토양 수분,
바다
해수 96.52 % 빙설 1.76 % 지하수 유출 지하수
지하 염수 지하수 0.76 % ▲ 물의 순환
0.94 % 염수 97.47 % • 태양열은 물의 순환 과정이 일어나도록 에너지를 공
염수 호수 (약 13.51억 km ) 3 지표수, 대기
0.01 % 0.01 % 급한다.
▲ 지구상의 물의 분포 • 수증기는 대기 중으로 올라가서 점점 차가워진다. 차
출처: 국토교통부(www.molit.go.kr)
가워진 수증기는 공기 중에서 응결하여 구름이 된다.
• 공기의 흐름은 구름이 지구상 여기저기로 움직이게
➋ 물의 순환
한다.
지구상의 물은 수십억 년 동안 존재해 왔으며, 상태
• 구름 속에서 물방울들이 만들어진 뒤에 비나 눈의 형태
를 바꾸며 대기, 육지, 담수, 해수 사이를 끊임없이 순
로 땅에 내려온다. 비나 녹은 눈이 땅 위를 흐르는 지표
환하고 있다. 이러한 물의 순환은 주로 태양 에너지에
수가 되어 강과 바다로 흐르거나 땅속으로 스며든다.
의해 일어난다. 바다, 강, 호수 등의 물은 대기 중으로
• 땅에 흡수된 물은 식물이 성장을 위해 사용한다. 식
증발한다. 태양 에너지를 흡수하여 온도가 높아진 물의
물은 뿌리에서 물을 흡수하고, 잎에서 수증기를 내보
증발은 더 활발하다. 식물의 증산 작용이나 화산 활동
낸다.
에 의해서도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유입된다. 대기 중
• 물은 중력과 압력으로 인해 땅속으로 이동한다. 빗물
의 수증기는 상승하면서 응결하여 구름을 형성하고, 구
중에서 일부는 땅으로 흡수(침투)되어 지하수가 된다.
름은 비나 눈이 되어 내린다. 육지로 내려온 물의 일부
지하수는 강과 호수로 스며들거나, 땅속으로 아주 깊
는 얼음이나 빙하가 되고, 일부는 땅속으로 스며들거나
이 들어가 오랫동안 머물러 있기도 한다. 지하수는
하천이나 지하수를 통해 바다로 이동하며, 일부는 다시
바다로 흘러들어 물의 순환 과정이 계속되게 한다.
수증기가 되어 대기로 이동한다.
땅속으로 스며든 물은 식물의 광합성에 이용되는 등
지상의 생물들이 생명을 유지하는 데 이용된다. 또, 하 ➌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는 원리
천을 흐르는 물은 많은 수중 생물의 서식처가 되고, 풍 ⑴ 병합설
화와 침식을 일으켜 지표의 모습을 변화시킨다. 지하수 저위도 지방이나 여름철 중위도 지방에서 비가 내리
는 우리가 먹는 물의 절반 이상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는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이들 지방에서 만들어지
하천, 호수, 습지 등으로 배출되어 생태계에 도움을 준다. 는 구름은 온도가 0`*C보다 높아서 구름 전체가 물방울
이처럼 지구의 물은 대기, 육지, 바다, 생명체 사이를 들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구름 속의 크고 작은 물방울
끊임없이 이동하면서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을 일으키거 들이 서로 충돌하고 합쳐지면 점점 커지고 무거워져서
나 지표의 모습을 변하게 하며, 지구상의 생명체가 살 비가 되어 내린다. 즉, 병합설은 구름 속의 크고 작은
아가는 데 필수적인 자원이 된다. 물방울들이 병합하여 비가 내린다는 이론이다.
356 5. 물의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