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ele_science_5-1_teacher
P. 35
지도상의 유의점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를 관찰한 뒤 실험 보고서를 작성하게 한다.
평가 기준 예시 _ 관찰 평가
정리해 볼까요 • [태도] 탐구 과정에서 안전에 주의했는가?
• [탐구]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는 어떠한가요? 하는 빠르기를 비교했는가?
예시 답안 •유리보다 금속에서 열이 더 빠르게 이동한다. • [지식]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
•금속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다르다. 하는 빠르기를 비교하여 설명했는가?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다르다.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다릅니다. 유리나 도우미
나무에서보다 금속에서 열이 더 빠르게 이동하고, 금속의 종류에 따라 어떤 물질이 열을 잘 전도할까요
물질마다 열을 전도하는 정도가
서도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다릅니다. 달라요. 나무, 구리, 유리, 철 중
에서 구리>철>유리>나무
우리 생활에서는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순으로 열을 잘 전도해요.
다른 성질을 이용해 물건을 만들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전기다리미,
냄비, 주전자 등은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서로 다른 고체 물질로
만들어 생활에 편리하게 이용합니다. 오개념 지도 금속 물질의 열전도 빠르기
학생들은 금속의 종류는 구분하지만 그 특성은 비슷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금속은 종류에 관계없이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같다고 생각
할 수 있다. 실험을 하기 전에 금속마다 성질이 다르며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도 금속의 성질 중 하나라는 것을 설명해 준다.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다른 성질을 이용한 예
손잡이
옷을 다리는 부분
손잡이
손잡이
전기다리미 옷을 다리는 부분은 금속으로 만들어 냄비와 주전자 바닥은 금속으로 만들어 열이 잘
열이 잘 이동하게 하고, 손잡이는 플라스틱으로 이동하게 하고, 손잡이는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들어 열이 잘 이동하지 않게 합니다. 만들어 열이 잘 이동하지 않게 합니다.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