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ele_science_5-1_tutor
P. 49
단원 마무리하기
단원에서 학습한 개념으로 빈칸을 완성하면서 개념을 정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
붙임딱지를 활용해 학습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생 그물
각
이렇게 정리해요 접촉한 두 물체 사이의 온도 변화
하기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고, 『과학』 125`쪽에서 알맞은 붙임딱지를 찾아 붙여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할 때
빈칸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온도가 높은 물체의 온도는 점점 4 . 시간이 지나면 두 물체의
두 물체가 접촉한 채로
• 온도가 낮은 물체의 온도는 점점 5 . 온도는 같아짐.
완성하기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할 때 나타나는 열의 이동: 접촉한 두 물체 사이에서 열은
온도
온도가 6 물체에서 온도가 7 물체로 이동함.
온도: 물체의 따뜻하거나 차가운 정도를 나타낸 것
단원명
온도의 단위: 생활에서는 주로 1 을/를 사용함.
온도의 측정: 2 을/를 사용해 정확하게 측정함. 고체, 액체, 기체에서의 열의 이동
온도를 측정하는 예 고체에서의 열의 이동: 주로 8 에 의해 열이 이동함.
온도와 열 고체 물질에서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이동하는
빠르기가 다름.
9 : 두 물체 사이에서 열의 이동을 막는 것
건강 상태를 확인할 때 요리할 때 식물을 재배할 때
액체나 기체에서의 열의 이동: 주로 10 에 의해 열이 이동함.
붙임딱지 붙임딱지 내용을
물체의 온도 측정 붙이는 곳 붙이는 곳
온도계의 쓰임새: 쓰임새에 맞는 온도계를 사용해야 물체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음. 전도에 의한 열의 이동 대류에 의한 열의 이동 점검할 수
3 비접촉식 체온계 알코올 온도계
평가 해요 있도록
『과학』 점검하기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까닭을 설명할 수 있나요? 22 쪽 ~ 27 쪽
붙임딱지 붙임딱지
붙이는 곳 붙이는 곳 온도가 다른 두 물체가 접촉하면 두 물체의 온도는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할 수 있나요? 30 쪽 ~ 31 쪽 해당 쪽
주로 고체로 된 물체의 주로 액체나 기체의 온도를 고체, 액체, 기체에서의 열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나요? 32 쪽 ~ 41 쪽
온도를 측정할 때 사용 체온을 측정할 때 사용 측정할 때 사용
각
생 그물 을 완성하고, 『실험 관찰』 24 쪽 ~ 25 쪽의 ‘문제로 확인하기’를 풀며 실력을 키워 봅시다. 제시
44 45
초등과학5-1_②단원(19~46)OK.indd 44 2022-04-07 오후 4:57:23초등과학5-1_②단원(19~46)OK.indd 45 2022-04-07 오후 4:57:23
붙임딱지 스스로 성취 기준의
붙이는 곳 달성 정도를 평가
과학 이야기 / 직업 탐험하기
과학자, 과학사, 최신 과학 동향, 첨단 과학, 실생활 등 단원 개념과 관련한 읽을거리를 제공
하였으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함양을 위해 진로와 직업 관련 자료를 제시하였다.
과학 기술
생활 속 열화상 사진기
공학
열화상 사진기는 물체로부터 나오는 열을 감지해 온도에 따라 여러
과학 관련 가지 색깔로 나타내는 특수한 사진기입니다. 열화상
사진기
열화상 사진기는 물체와 접촉하지 않아도 물체의 온도를 여러 가지
다양한 색깔로 나타낼 수 있고, 넓은 범위의 물체 표면 온도도 측정할 수 있습 열화상 사진기를 장착하여
니다. 따라서 열화상 사진기를 사용하면 사진기 화면에 나타난 색깔을
과학 기술
공학
분석해 온도가 높은 물체나 사람을 찾을 수 있습니다. 태양 전지의 과열된 부분을
두 얼굴의 대장균
촬영하는 무인 비행 물체
읽을거리
대장균은 우리 몸속의 큰창자(대장)라는 곳에 사는 세균입니다. 막대
최근에는 무인 비행 물체, 로봇, 스마트 기기 등에 장착해 사용할 수
모양으로 생긴 대장균은 우리 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있는 열화상 사진기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개발한 장치는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또, 첨단 생명 과학에 활용되어 우리
생활에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산업 기술에도 활용됩니다.
열화상
사진기
열화상 사진기
열화상 사진기를 장착하여 체온이
높은 사람을 찾는 체온 측정 로봇
첨단 생명 과학에 활용되는 대장균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20`분 만에 그 수가 두 배로 늘어나기도 합니다.
대장균은 살기에 알맞은 환경이 만들어지면
우리 주변에서 열화상 사진기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설명해 봅시다. 이러한 특성을 활용해 유용한 물질을 만드는
대장균(12522`배) 대장균을 개발하여 우리에게 필요한 물질을
28 29 짧은 시간 안에 많이 만들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장균
대장균은 큰창자에 해로운 세균이 들어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대장균
사는 것을 막습니다. 또, 대장균은 우리 몸속에
초등과학5-1_②단원(19~46)OK.indd 28 2022-04-07 오후 4:56:01 초등과학5-1_②단원(19~46)OK.indd 29 2022-04-07 오후 4:56:07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분해하여 여러 가지 소독하지 않은 우유나 덜 익은 소고기 등을
바이타민을 만듭니다. 먹어서 우리 몸속으로 들어온 대장균은 배를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아프게 하거나 설사를 일으키기도 합니다.
내가 첨단 생명 과학자라면 대장균을 어떻게 활용할지 이야기해 봅시다.
112 113
초등과학5-1_⑤단원(95~118)OK.indd 112 2022-04-18 오후 2:51:20 초등과학5-1_⑤단원(95~118)OK.indd 113 2022-04-18 오후 2:51:24
창의적으로
생각해요
2. 과학과 교과용 도서의 개발 방향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