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3 - ele_science_5-2_tutor
P. 253

정리                                                              채점 기준                배점(%)
                                                                      안전장치의 기능을 속력과 관련지어 옳게 설
                        확인 해요                                                                           100
                                                                      명한 경우
                 1   물체가 ( 빠르게, 느리게 ) 운동할수록 멈추기가 어렵                   안전장치의 기능을 속력과 관련짓지 않고 사
                                                                                                         50
                   고, 충돌할 때 피해가 큽니다.                                  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만 설명한 경우
                 2  문제 해결력   오른쪽과  같
                   이 자전거를 탈 때 필요
                   한 속력과 관련된 안전장                                   참고  자료
                   치에는 무엇이 있는지 설                                  자동차에서 찾아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안전장치
                   명해 봅시다.                                          『과학 지도서』 248`쪽 ̄249`쪽에 제시한 에어백, 안
                    지도 방향  자전거를 탈 때 몸을 보호해 줄 수 있는 안전장치를 생         전띠, 멈추개 페달 외에도 자동차에는 속력과 관련된
                   각해 보게 한다.
                                                                  여러 가지 안전장치가 있다.
                    예시 답안  •머리를 보호하는 안전모가 필요하다.                                                                    4
                                                                  •ABS(Anti–lock Brake System)
                   •무릎과 팔꿈치를 보호하는 보호대가 필요하다.                                                                       단원
                                                                    큰 속력으로 달리는 자동차의 멈추개 페달을 강하게
                                                                  밟으면 바퀴의 회전이 멈춰서 도로에 스키드 마크를 남

                                                                  기며 자동차가 미끄러져 나간다. 이때에는 운전대를 돌
                 형성   평가                                          려도 자동차의 방향을 바꾸기가 어렵다. ABS는 이러

                 1   다음은 교통안전 수칙에 대한 학생들의 대화입니다.                  한 상황에서 바퀴가 회전과 멈춤을 반복하게 해서 자동
                   교통안전 수칙을 잘 지킨 학생은 누구인지 써 봅                     차가 미끄러져 나가는 거리를 줄이고, 운전대를 통해
                   시다.                                            자동차의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도와준다.
                                                                  •TCS(Traction Control System)
                     우리:  나는 버스를 빨리 타려고 차도로 내려가서                    자동차가 눈길에서 미끄러지거나 타이어가 크게 손

                          버스를 기다렸어.                               상되면 왼쪽과 오른쪽 바퀴가 회전하는 속력이 달라 자
                     나라:  나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 공을 공 주머니에

                                                                  동차의 방향이 갑자기 꺾이는 위험한 상황이 일어날 수
                          넣어 들고 건넜어.
                                                                  있다. TCS는 이럴 때 엔진과 멈추개를 자동으로 조절

                     만세:  나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 신호등이 초록불
                                                                  하면서 양쪽 바퀴의 회전수를 비슷하게 조절해 준다.
                          로 바뀌자마자 건넜어.
                                                (    나라     )
                    풀이  버스가 멈추기 전까지는 차도로 내려가지 않아야 한다. 또,
                   횡단보도를 건널 때에는 신호등이 초록불로 바뀌면 멈추지 않은
                   차가 없는지 좌우를 잘 살핀 뒤에 건너야 한다.
                                                                     ▲ 자동차의 ABS 모듈          ▲ 자동차의 TCS 단추

                 2  오른쪽 표지판은 도로에서 볼 수                             • 적응식 정속 주행 장치(ACC, Adaptive Cruise
                                                  어린이 보호 구역
                   있는 안전장치입니다. 이 안전장치                               Control)
                   의 기능을 속력과 관련지어 설명해                               정속 주행 장치는 가속 페달을 밟지 않아도 운전자가
                   봅시다.                              어린이 보호       원하는 속력을 유지하면서 자동차를 자동으로 주행해
                    예시 답안  자동차가 정해진 속력으로 다닐                       주는 장치이다. 이 장치에 자동으로 앞차와의 거리를
                                                     30
                   것을 알려 사고를 예방한다.                                조절해 주는 기능을 추가한 것이 적응식 정속 주행 장
                    풀이  어린이 보호 구역 표지판은 자동차가                       치이다. 이 기능은 레이다 및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
                   정해진 속력으로 다닐 것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주행을 할 수 있게 돕는다.


                                                                                            4. 물체의 운동    251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