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9 - ele_science_6-1_tutor
P. 139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과학  기술
                         예술
                            조선 시대 별자리 그림,                           •  과학적 사고력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적혀 있는 내용
                              「천상열차분야지도」                              의 특징을 설명하게 한다.
                                                                    •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천상열차분야지도」를 조사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우리나라의 과거 별자리의
                            모습을 증강 현실 기술로 보여 주었습니다. 이 별자리들은 「천상열차분
                                                                      하는 활동을 통해 천문학과 관련 있는 과거 우리
                            야지도」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관측한 천체들을 12`개의 범위로 나누어 차례    문화유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탐색하게 한다.
                            로 늘어놓은 그림이라는 뜻으로, 이 그림에는 조선 시대에 보였던 1467`개
                            의 별과 290`개의 별자리가 그려져 있습니다. 별자리뿐만 아니라 태양과                                               2
                            달, 행성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과거 우리나라                                                  단원
                                                                   참고  자료
                            밤하늘의 모습을 짐작하게 해 주는 소중한 자료입니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별자리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정중앙은 북극이며 가장 바깥
                                                                  둘레는 365`개의 눈금으로 나뉘어 있고 총 1467`개의
                                                                  별이 표시되어 있다. 북극을 중심으로 주극원이 표시되
                                                                  어 있으며, 주극원의 안쪽에 있는 별들은 조선 시대 한
                                                                  양에서 계절과 관계없이 항상 지평선 위에 떠 있는 별
                                                                  들이다. 주극원 안에는 161`개의 별자리가 있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조선 시대에 관측한 별자리는 지금과 어떻게 다를지 생각해 봅시다.
                                                                                      주극원
                44
                  44

               초등과학6-1_②단원(21~44)OK.indd   44             2022-06-09   오후 2:43:28


                   ‣  활용 방법
                                                                              ▲ 「천상열차분야지도」–주극원
                   •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개막식 방송을 보여 주
                    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주극원 바깥쪽에는 주극원보다 큰 원 두 개가 위치해
                                                                  있다. 중앙에 위치한 원은 천구의 적도이다. 지구의 적
                   • 조선 시대 별자리의 모습을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도를 천구까지 투영한 것으로 이를 따라 하늘을 12 등
                    찾아볼 수 있게 한다.
                                                                  분으로 나누었다. 중앙에서 약간 치우친 위치에 표시된
                   • 학생들은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기록된 별자리를 살
                                                                  원은 태양이 지나가는 경로인 황도이다. 태양이 1`년
                    펴보고 지금과 무엇이 다른지 생각해 과학 글쓰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해 보도록 한다.                        동안 별자리들의 사이를 어떤 궤도로 운행하는지 기록
                                                                  한 것이다. 별은 점으로 표시했고 점의 크기에 차이를
                                                                  두어 별의 밝기까지 나타냈다.
                  창의  적으로 생각해요
                                                                             천구의 황도
                  조선 시대에 관측한 별자리는 지금과 어떻게 다를지
                 생각해 봅시다.

                 지도 방향  관측한 별자리들이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어떻게 기록되
                 어 있는지 사진을 보며 생각해 보게 한 후 지금의 별자리와 무엇이 다
                 른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해 보도록 지도한다.
                 예시 답안  조선 시대에 관측한 별들의 위치와 지금 관측했을 때 보이                                     천구의 적도
                 는 별들의 위치는 서로 비슷해 보인다. 하지만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려진 별자리의 모습은 지금의 별자리의 모습과 다르게 보인다.                       ▲ 「천상열차분야지도」–천구의 적도와 황도


                                                                                        2. 지구와 달의 운동    137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