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5 - ele_science_6-1_tutor
P. 135

참고   자료                                          달의 공전 주기
                                                                    달은 지구를 중심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공전하는
                 달의 위상 변화
                                                                  데 달이 공전하는 주기는 삭망월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여러 가지 모습을 달의 위상이
                                                                  와 항성월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로 나뉜다. 삭망월은
                 라고 한다. 달의 위상 변화는 달의 공전으로 인해 나타
                                                                  지구에서 보이는 달의 주기적인 위상 변화를 기준으로
                 나는 현상이다. 달은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아니라 태
                                                                  한다. 즉, 삭망월은 달의 모양이 삭에서 삭 또는 망에서
                 양 빛을 반사하여 우리 눈에 보이기 때문에 달–지구–
                                                                  망으로 바뀌는 주기로 약 29.5`일이다.                          2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의 위상이 달라진다.
                                                                    항성월은 달이 천구 상의 별을 기준으로 지구 주위                    단원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에 있을 때 지구를 바라보는
                                                                  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주기로 약 27.3`일이다. 삭
                 부분은 태양 빛을 받지 못하면서 지구에서는 달을 볼
                                                                  망월과 항성월의 주기가 다른 까닭은 달이 지구 주위를
                 수 없게 된다. 이때 달의 위치를 삭이라고 한다. 달이
                                                                  공전할 때 지구 역시 태양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삭을 지나면 태양 빛을 받아 반사하는 면이 지구에서
                 보이고 달의 위상이 초승달, 상현달로 변한다.                                            망
                                                                                        약 29.5 일
                   달이 상현달의 위치를 지나서 태양–지구–달의 순                                            (삭망월)
                                                                                         약 27.3 일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면 태양 빛을 반사하는 면이 가                                           (항성월)
                 장 커져 지구에서는 보름달을 볼 수 있다. 이때 달의 위
                 치를 망이라고 한다. 달이 망을 지나 다시 삭으로 이동                      태양
                                                                                            망
                 하고 이 시기 동안 태양 빛을 반사하는 면이 다시 작아                                       지구    달
                 지면서 지구에서는 달의 위상이 점차 하현달, 그믐달로                                지구의 공전 궤도
                 변한다. 이처럼 달의 위상은 삭, 초승달, 상현달, 보름
                                                                                  ▲ 삭망월과 항성월
                 달, 하현달, 그믐달의 순으로 반복된다.

                                 상현달                              달이 뜨는 시각
                                       초승달
                                                                    태양, 지구, 달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달이 뜨는 시
                                                                  각은 달라진다. 달은 지평선 위로 올라오면 약 12`시간
                                                 햇빛
                                망    삭                            을 하늘에 떠 있는다. 이때, 달이 뜨더라도 태양이 지지
                          보름달     지구                              않았다면 달을 관측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태양이 진 직

                                                                  후인 오후 6`시 무렵 이후부터 달을 관측할 수 있다.
                                       그믐달
                                 하현달
                                                                    달의 모양      뜨는 시각      남중 시각      지는 시각
                                 ▲ 달의 위상 변화
                                                                     초승달       오전 9`시     오후 3`시     오후 9`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제작한 ‘AR달의 위상 변화’
                                                                     상현달         정오       오후 6`시       자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면 직접 관측하지 않아도 음력
                                                                     보름달       오후 6`시       자정       오전 6`시
                 날짜에 따른 달의 위상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하현달         자정       오전 6`시       정오
                 달의 뜨는 위치 변화
                                                                     그믐달       오전 3`시     오전 9`시     오후 3`시
                   달은 하루에 약 13*씩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에
                 매일 같은 시각에 달을 관측하면 하루에 약 13*씩 동쪽                                 ▲ 달이 뜨고 지는 시각
                 으로 위치가 달라진다. 달이 동쪽으로 이동했기 때문에                      초승달은 밤하늘에서 약 3`시간, 상현달은 약 6`시간
                 지구에서 달이 뜨는 것을 관측하려면 지구도 약 13*를                   동안 볼 수 있다. 보름달은 약 12`시간으로 가장 오래
                 더 자전해야 한다. 지구가 13*를 자전하려면 약 50`분                 볼 수 있다. 하현달과 그믐달은 자정 이후에 지평선 위
                 이 걸린다. 따라서 달이 뜨는 시각은 매일 약 50`분씩                  로 떠오르기 때문에 하현달은 약 6`시간, 그믐달은 약
                 늦어진다.                                            3`시간 동안 볼 수 있다.


                                                                                        2. 지구와 달의 운동    133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