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1 - ele_science_6-1_tutor
P. 301
과학과 핵심 역량 강화를 위한 지도 방안 형성 평가
• 과학적 사고력 간이 사진기로 물체를 관찰하기 전에 어
1 다음 간이 사진기에서 겉 상자의 동그란 구멍이 뚫린
떻게 보일지 미리 생각해 보게 한다. → 질문 예시:
부분에 붙인 ㉠은 무엇인지 써 봅시다.
간이 사진기로 물체를 관찰하면 어떻게 보일까요?
속 상자
• 과학적 탐구 능력 간이 사진기로 다양한 물체를 관찰
하고, 그 모습을 그림과 글로 표현하게 한다. 겉 상자
평가 기준 예시_관찰 평가, 산출물 평가
㉠
방법 요소 평가 기준 상 중 하
( 볼록 렌즈 )
간이 사진기를 만들고 물체를 관찰할
풀이 간이 사진기는 빛이 굴절하는 볼록 렌즈를 이용해 만든다.
태도 때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참여했
는가?
2 간이 사진기로 다음 모양을 관찰하면 어떻게 보이는
관찰 간이 사진기로 다양한 물체를 관찰하
탐구
평가 고 그림과 글로 나타냈는가? 지 그려 봅시다.
간이 사진기로 관찰한 물체의 모습
지식 이 실제 모습과 다른 까닭을 설명했 ㄱ ㄴ 5
는가? 단원
산출물 주변에 있는 물체를 관찰할 수 있는 ▲ 실제 모습 ▲ 간이 사진기로 관찰한 모습
평가 간이 사진기를 만들었는가?
풀이 간이 사진기로 ‘ㄱ’을 관찰하면 상하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평가 피드백 탐구 수행 과정의 태도, 탐구, 지식을 상중하로 구분하여 즉, ‘ㄱ’을 상하로 뒤집고 다시 좌우로 뒤집으면 ‘ㄴ’이 된다.
간략하게 문장으로 피드백하고, 산출물을 이용해 여러 가지 물체를
관찰할 수 있게 한다.
참고 자료
사진기의 역사
정리
사진기는 빛의 성질을 이용한 광학 기기 중의 하나
확인 해요 로, 사람의 눈과 비슷한 구조로 되어 있다. 세계 최초로
개발된 사진기는 ‘카메라 오브스쿠라’이다. 카메라 오브
1 간이 사진기로 본 물체의 모습은 실제 모습과 ( 같습
스쿠라는 고대 로마의 말로 ‘어두운 방’이라는 뜻이다.
니다, 다릅니다 ).
어두운 방의 한쪽 벽에 바늘구멍을 뚫어 구멍을 통과한
풀이 간이 사진기에 있는 볼록 렌즈에서 빛이 굴절하여 기름종
바깥 경치가 반대쪽 벽에 거꾸로 비치게 만든 것이다.
이에 위치가 바뀐 물체의 모습을 만들기 때문에 간이 사진기로 본
물체의 모습은 실제 모습과 다르다. 카메라 오브스쿠라는 크기가 축소되어 바늘구멍 사진
2 의사소통 능력 볼록 렌즈를 이용해 어떤 도구를 만들 기로 발전했다. 이탈리아의 발명가인 카르다노는 볼록
고 싶은지 이야기해 봅시다. 렌즈의 빛을 모으는 성질에 착안하여 바늘구멍 사진기
지도 방향 볼록 렌즈에서 빛이 굴절하는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에 볼록 렌즈를 부착한 사진기를 발명했다.
예시 답안 볼록 렌즈를 이용해 곤충을 관찰할 때 사용하는 확대 오늘날의 사진기는 필름을 사용하는 시대를 거쳐 디
경을 만들고 싶다. 지털 메모리에 영상을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 또, 인공
풀이 볼록 렌즈를 이용한 기구에는 현미경, 망원경, 쌍안경, 사진 위성에서 지구를 촬영하거나 사람의 몸속을 촬영하는
기, 확대경 등이 있다. 등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진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5. 빛과 렌즈 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