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ele_science_6-2_tutor
P. 17

6  과학과 교육과정 문서 체계


                   과학과 교육과정은 다음의 문서 체계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목차의 의미에 대한 해설을
                 참고하여 교육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1. 성격                                •교과가 갖는 고유한 특성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교과 교육의 필요성 및 역할(본질, 의의 등), 교과 역량 제시



                 2. 목표
                                                      • 교과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의 도달점·
                                                        교과의 총괄 목표, 세부 목표, 학교급 및 학년군별 목표 등을 진술


                 3.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가. 내용 체계                           •내용 체계: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내용 요소, 기능으로 구성
                                                      - 영역: 교과의 성격을 가장 잘 나타내 주는 최상위의 교과 내용 범주
                   나. 성취 기준
                                                      - 핵심 개념: 교과의 기초 개념이나 원리
                                                      - 일반화된 지식: 학생들이 해당 영역에서 알아야 할 보편적인 지식
                   [영역명]
                                                      - 내용 요소: 학년(군)에서 배워야 할 필수 학습 내용
                   (가) 학습 요소                          -  기능: 수업 후 학생들이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으로 교과

                                                       고유의 탐구 과정 및 사고 기능 등을 포함
                   (나) 성취 기준 해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성취 기준: 학생들이 교과를 통해 배워야 할 내용과 이를 통해 수업 후 할 수
                                                        있거나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능력을 결합하여 나타낸 수업 활동의 기준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 성취 기준에서 학생들이 배워야 할 학습 내용을 핵심어로 제시


                                                      • 제시한 성취 기준 중 자세한 해설이 필요한 성취 기준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특별히 강조되어야 할 성취 기준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해당 영역의 교수·학습을 위해 제안한 방법과 유의 사항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 및 유의미한 학습 경험 제공 등을 유도하는 내용 제시


                                                      •해당 영역의 평가를 할 수 있도록 제안한 방법과 유의 사항
                                                      • 해당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다양한 평가, 특히 과정 중심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련 내용 제시


                 4.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가. 교수·학습 방향                        • 교과의 성격이나 특성에 비추어 포괄적 측면에서 교수·학습의 철학 및 방향,
                                                        교수·학습의 방법 및 유의 사항 제시
                   나. 평가 방향

                                                      • 교과의 성격이나 특성에 비추어 포괄적 측면에서 교과의 평가 철학 및 방향,
                                                        평가 방법, 유의 사항 제시



                                                                                        1. 2015 개정 교육과정    15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