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ele_science_6-2_tutor
P. 13

①  이 표에서 1`시간 수업은 40`분을 원칙으로 하되, 기후 및 계절, 학생의 발달 정도, 학습 내
                   용의 성격, 학교 실정 등을 고려하여 탄력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②  학년군 및 교과(군)별 시간 배당은 연간 34`주를 기준으로 한 2`년간의 기준 수업 시수를 나
                   타낸 것이다.
                 ③  학년군별 총 수업 시간 수는 최소 수업 시수를 나타낸 것이다.

                 ④  실과의 수업 시간은 5 ̄6학년 과학/실과의 수업 시수에만 포함된 것이다.

                  2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

                 1)  학교는 모든 교육 활동을 통해 학생의 기본 생활 습관, 기초 학습 능력, 바른 인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한다.
                 2)  학교는 학년군별로 이수해야 할 교과를 학년별, 학기별로 편성하여 학생과 학부모에게 안

                   내한다.

                 3)  학교는 각 교과의 기초적, 기본적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학습되도록 교육과정을 편성·운영
                   한다. 특히 국어 사용 능력과 수리 능력의 기초가 부족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 학습 능

                   력 향상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4)  학교는 학교의 특성, 학생·교사·학부모의 요구 및 필요에 따라 교과(군)별 20 % 범위 내에

                   서 시수를 증감하여 편성·운영할 수 있다. 단, 체육, 예술(음악/미술) 교과는 기준 수업 시
                   수를 감축하여 편성·운영할 수 없다.
                 5)  학교는 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학년별, 학기별로 교과 집중 이수를 실시

                   할 수 있다.

                 6)  전입 학생이 특정 교과를 이수하지 못할 경우, 교육청과 학교에서는 보충 학습 과정 등을

                   통해 학습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7)  학년을 달리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복식 학급을 편성·운영하는 경우에는 교육 내용의 학년
                   별 순서를 조정하거나 공통 주제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여 활용할 수 있다.
                 8)  학교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을 학생들의 발달 수준, 학교의 여건 등을 고려하여 학년

                   (군)별로 선택적으로 편성·운영할 수 있다.

                 9)  학교는 1학년 학생들의 입학 초기 적응 교육을 위해 창의적 체험활동의 시간을 활용하여 자
                   율적으로 입학 초기 적응 프로그램 등을 편성·운영할 수 있다.
                 10)  정보 통신 활용 교육, 보건 교육, 한자 교육 등은 관련 교과(군)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체계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4  과학과 교육과정 개정의 개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취지는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기술 창조력을 갖춘 균형

                 잡힌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다. 이에 ‘과학’ 교과에서는 일상의 경험과 관련이
                 있는 상황을 통해 과학 지식과 탐구 방법을 즐겁게 학습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여 과학과
                 사회의 올바른 상호 관계를 인식하며 바람직한 민주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과학과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량을 적정화하고, 학생 참여


                                                                                        1. 2015 개정 교육과정    1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