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ele_science_6-2_tutor
P. 11

가.  자아 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자질을 갖추어

                      자기 주도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자기 관리 역량
                    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식 정보 처리 역량
                    다.  폭넓은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전문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하

                      여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 사고 역량
                    라.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향

                      유하는 심미적 감성 역량

                    마.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
                      며 존중하는 의사소통 역량

                    바.  지역·국가·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공동체 발전에 적
                      극적으로 참여하는 공동체 역량





                  2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이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교육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
                 가 요구하는 핵심 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중
                 점을 둔다.

                   이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은 다음과 같다.



                    가.  인문·사회·과학기술 기초 소양을 균형 있게 함양하고, 학생의 적성과 진로에 따른 선택
                      학습을 강화한다.
                    나.  교과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구조화하고 학습량을 적정화하여 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다.  교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

                      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

                    라.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를 강화하여 학생이 자신의 학습을 성찰하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교수·학습의 질을 개선한다.
                    마.  교과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의 일관성을 강화한다.


                    바.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 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하여
                      산업 사회가 필요로 하는 기초 역량과 직무 능력을 함양한다.





                  3   초등학교 교육 목표

                   초등학교 교육은 학생의 일상생활과 학습에 필요한 기본 습관 및 기초 능력을 기르고 바른
                 인성을 함양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1. 2015 개정 교육과정    9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