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ele_science_6-2_tutor
P. 14

중심의 수업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를 제고하였으며, 창의·융합적 사고와 바른 인성
           등 핵심 역량 함양이 가능한 과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통합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 개념(big idea) 중심 통합 구현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으로, 중요한 개정 방향
           은 인문학적 상상력과 과학 기술 창조력을 갖춘 균형 잡힌 인재의 양성이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총론이 추구하는 방향성을 반영하였으며, 과학과 교육과정의 국제 동향을
           반영하는 한편, 통합 교육과정에 따른 핵심 개념(big idea) 중심의 통합을 구현하였다. 초등학
           교 과정에서는 ‘물의 여행’(4학년), ‘에너지와 생활’(6학년) 단원을 통합 단원으로 구성하였다.


            2   학교 교육을 통한 탐구 역량 강화

             과학 교육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는 탐구 역량 강화를 추진하였다. 탐구 기능을 중심으로 핵
           심 역량을 추출하여 교육과정에 반영하였고, 성취 기준 진술문은 과학 내용과 기능을 합쳐 진
           술하여 실제적 탐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3   핵심 개념 중심의 학습량 적정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꼭 배워야 할 핵심 개념을 명시하고 영역별로 핵심 개념을 중
           심으로 영역별 성취 기준을 개발하였다. 핵심 개념이란 ‘학생들이 학습한 내용의 세부 사
           항을 잊어버린 후에도 지속되길 원하는 개념’을 가리킨다. 즉, 핵심 개념은 분과적인 주요 개

           념들을 포괄하는 상위의 개념으로 다양한 과학적 현상뿐만 아니라 과학 외의 다른 분야(교과)
           와 연계된 현상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과학과 핵심 개념을 중심
           으로 학습량을 적정화하여 학습의 질을 개선하였다.

            4   학생 참여형 수업 촉진

             학생 참여형 수업을 촉진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 실제적·실천적 지침을 교육과정 문서상에
           제공하였다. 성취 기준 해설 및 학습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등의 항목에 학생 참여형 수업이 가능하게 하는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방안을 예시하여

           교사의 창의적인 교육과정 구현 및 수업 활동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5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1   과학 교과의 성격

             ‘과학’은 모든 학생이 과학의 개념을 이해하고 과학적 탐구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
             ‘과학’에서는 일상의 경험과 관련이 있는 상황을 통해 과학 지식과 탐구 방법을 즐겁게 학
           습하고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여 과학과 사회의 올바른 상호 관계를 인식하며 바람직한 민주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12    제 1 부 2015 개정 교육과정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