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ele_science_6-2_tutor
P. 16

다섯 가지 과학과 핵심 역량을 구현하기 위해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기대되는 수행 능력인 ‘기능’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탐구

           기능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이를 포괄하는 개념이 ‘기능’이며, 과학과 핵심 역량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기능에는 탐구하기, 추리·추론하기, 분석·해석하기, 반성적 사고
           하기, 평가하기가 포함되며, 이 기능과 활동이 실제 교수·학습 과정, 평가 과정으로 구체화된다.
           이 기능에는 탐구력이나 사고력, 분석력, 해석력 등이 있다. 이러한 핵심 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성취 기준에는 과학 지식인 ‘내용’과 ‘기능’을 합하여 진술하였다.
             그림은 핵심 역량, 기능, 활동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화

                                                      구현

                    핵심 역량                           기능(skills)                      활동(activities)

                                               수업(학습) 활동 결과로서                  •수업(학습) 활동
                   기능의 총체
                                                 기대되는 수행 능력                    •활동으로서의 수행
                  과학적 사고력                      탐구하기(탐구력, 사고력)                        문제 인식하기
                                                                                     가설 설정하기
                 과학적 탐구 능력                        추리·추론하기
                                                (추론·추론력·사고력)                          조사하기
                 과학적 문제 해결력
                                                  분석·해석하기                           (자료) 수집하기
                                                (분석·해석력·사고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관찰, 실험하기
                                               반성적 사고하기(사고력)                         결론 도출하기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평가하기(평가력, 사고력)                      설명하기, 토론하기


                                   ▲ 핵심 역량을 구체화한 기능(2015 개정 과학과 시안 개발 방향, 2015)









            2   과학 교과의 목표
             자연 현상과 사물에 대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고, 과학의 핵심 개념에 대한 이해와 탐구

           능력의 함양을 통하여 개인과 사회의 문제를 과학적이고 창의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소양을 기른다.

             가.  자연 현상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갖고,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기른다.
             나. 자연 현상 및 일상생활의 문제를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기른다.

             다. 자연 현상을 탐구하여 과학의 핵심 개념을 이해한다.
             라.  과학과 기술 및 사회의 상호 관계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민주 시민으로서의 소양을

                기른다.
             마. 과학 학습의 즐거움과 과학의 유용성을 인식하여 평생 학습 능력을 기른다.


           14    제 1 부 2015 개정 교육과정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