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9 - ele_science_6-2_tutor
P. 439

• 이영희, 『질적 연구에 의한 고등학교 생명과학Ⅰ교과서 생명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과학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학연                  Science(AAAS),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구, 2013, (17`권, 173`쪽~197`쪽).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 이영희,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4, (34`권, 207`쪽           Science(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212`쪽).                                          University Press, 1990.
                 • 이화국, 『과학 교육』, 교육과학사, 1984.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 장명덕,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2014.             Science(AAAS), 『Science for all Americans』, Oxford
                 • 전승준, 고훈영, 이영식, 곽영순, 최성연, 강훈식, 박민아, 『모            University Press, 1993.
                  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 개발』, 한국과학창의재단, 2017.               •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 전영빈, 이화국,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과학 교과서의 과학             Science(AAAS), 『Science –  A Process Approach,
                  의 본성(NOS)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2020, (44`권, 273`쪽        Par&t A, Description of the program』, Xerox, 1967.
                  ~288`쪽).                                        •  Bloom,  B.  S.(ed.),  『Taxonomy  of  educational
                 • 정명현, 유인성, 민소원, 홍훈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과               objectives,  Vol.  1:  Cognitive  Domain』,  David
                  학의 본성 수준 및 반영 정도 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과                Mckay, 1956.
                  2015 개정 교육과정 사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Brown,  N.  J.  S.,  Fur&tak,  E.  M.,  Timms,  M.,
                  2020, (20`권, 1047`쪽~1074`쪽).                      Nagashima, S. O., &Wilson, M., 『The evidence –  based
                 • 정문성, 『토의·토론 수업 방법』, 교육과학사, 2017, (22`쪽           reasoning  framework:  Assessing  scientific
                  ~23`쪽, 84`쪽).                                     reasoning』, Educational Assessment, 2010, (15`권,
                 • 정준형, 강남화, 『우리나라 2015 과학 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123`쪽~141`쪽).
                  미국 차세대 과학 표준(NGSS) 수행 기대의 물리 영역 비교              •  Chang,  H.  P.,  &Lederman,  N.  G.,  『The  effects
                  분석』, 새물리, 2016, (66`권, 705`쪽~718`쪽).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in  physical
                 • 조성민, 구남욱, 김현정, 이소연, 이인화, 『OECD 국제 학업             science laboratory groups on physical science
                  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8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평가원, 2019.                                        Teac&hing, 1994, (31`권, 167`쪽~181`쪽).
                 • 조연순, 채제숙, 백은주, 임현화, 『초등학교 수업을 위한 문제            •  C&hiappetta, E. L., Koballa, T. R., Collette, A. T.,
                   중심 학습(PBL)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 연구』, 교육방법연               『Science instruction in the middle and secondary
                  구, 2004, (1`쪽~28`쪽).                              schools』,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1998.
                 • 조은진, 김찬종, 최승언, 『‘과학의 본성’ 교육 – 그 다원성 고          •  Conant. J. B., 『Science and common sense』, Yale
                  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8, (38`권, 721`쪽~738`쪽).         University Press, 1961.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과학 교수 모형의 특징과 적           •  diSessa,  A.  A.,  『Toward  an  epistemology  of
                  용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0, (30`권,            physics』, Cognition and Instruction, 1993, (10`권,
                  557`쪽~575`쪽).                                     105`쪽~225`쪽).
                 • 조희형, 최경희, 『과학 교육 총론』, 교육과학사, 2001.             •  Dodge,  B.,  『Web  Quests:  A  technique  for
                 • 주상윤, 『창의적 발상의 원리와 기법』, 울산대학교출판부,                 i&nternet –  based  learning.  Distance  Educator』,
                  2007.                                             Distance Educator, 1995.
                 • 한국과학교육학회, 『과학 교육학 용어 해설』, 교육과학사,               •  Kissock,  C.,  Lyor&tsuun ,  P.,  『A  guide  to
                  2005.                                             questioning: Classroom procedures for teachers』,
                 •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Macmillan Education, 1982.
                  방향 Ⅱ』, 한국과학창의재단, 2015.                          •  Lederman, N. G., Lederman, J. S., 『Research o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 공학 용어 사전』, 교육과학사, 2005.             teac&hing and learning of nature of science. In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위한 교과 교                N. G. Lederman S. K. Abell (Eds.)』 [Handbook
                  육과정 개발 정책 연구회 합동 워크숍(4차) 자료집』, 한국교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Lawrence
                  육과정평가원, 2015.                                     Erlbaum, 2014, (1739`쪽~1815`쪽).


                                                                                     자료 출처 및 참고 문헌       437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