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ele_society_5-2_teacher
P. 49
저 산에서부터
저 강에 이르기까지
모두 내 땅이다.
원의 세력을 이용한 지배층의 등장
권문세족은 권력을 독차지하였으며, 백성의 토지를 강제로 빼앗아 권문세족 대대로 권력이 있던
집안, 원의 힘을 이용해 성장한
대규모 농장을 운영하면서 나라에 세금도 내지 않았다. 계층 등이 속한 고려 후기 지배
세력.
지도상의 유의점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한 공민왕의 노력 고려 말의 상황과 조선 건국의
배경을 연결하여 생각할 수
14세기 중반에 원의 세력이 약해지자, 공민왕은 원의 간섭에서 벗어 있도록 지도합니다.
나기 위해 개혁 정책을 펼쳤다.
•원이 고려에 설치한 일부 관청을 없애라.
•원을 믿고 횡포를 부리는 세력을 쫓아내라.
• 강제로 빼앗은 땅을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어라.
이런 활동을 할 수 있어요 공민왕의 뇌 구조 그리기
• 뇌 구조가 그려진 종이를 나누어 줍니다.
• 원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위해 공민왕이 했던 노력을 조사하여 정리하게 합니다.
•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공민왕의 업적을 뇌 구조에 쓰게 합니다.
하지만 공민왕의 개혁은 어려움에 부딪혔다. 외적이 침입하여
나라가 혼란스러웠고, 권문세족이 개혁 정책에 반발하였다. 결국
공민왕이 죽으면서 개혁은 실패하고 말았다.
2.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