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7 - ele_society_5-2_tutor
P. 217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이 단원에서는 조선 후기와 개화기에 나타난 새로운 탕평 정치
사회를 향한 움직임을 살펴보고, 이때에 발생한 여러 사 붕당 간 대립을 막기 위해 인재를 고루 등용하여 정치 2
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알아본다. 세력의 균형을 꾀한 영조와 정조 시기의 정치를 의미한다.
단원
이를 위해 1~2차시에서는 조선 후기 정치와 사회 문 서민 문화
제를 해결하기 위해 영조와 정조가 추진한 개혁을 알아 조선 후기에 서민을 중심으로 새롭게 등장한 문화와
보고, 3차시에서는 정약용의 활동을 중심으로 당시에 제 예술 활동을 이르는 말로, 주로 서민을 주인공으로 삼아
기된 사회 문제의 해결 방안을 파악한다. 4차시에서는 그들이 가진 감정과 일상생활을 다루었다.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풍속화
변화 모습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5차시에서는
풍속화는 일반 서민의 일상생활, 생활 속에서 치르고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조선의 개항 과정을 알아보
겪는 특별한 행사 등을 그린 그림이다. 이를 통해 당시
고, 6차시에서는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이 추구한
생활 습속을 파악할 수 있다.
사회의 모습을 살펴본다. 7~8차시에서는 자주독립 국
개항
가를 세우기 위한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의 노력을 통해
항구를 열어 외국 선박의 출입을 허용하는 일이다. 역
당시 사람들이 추구한 나라의 모습을 파악한다.
사적으로는 외국과 국교를 맺고 통상 관계를 전개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2 중단원 목표
새로운 사회를 만들려는 당시 사람들의 노력과 그
지식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 모습이 담겨 있는 한글 소
기능 설, 풍속화, 탈놀이, 판소리 작품을 조사하여 정리 5 참고 자료 및 누리집
할 수 있다.
박평식 외,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5 -조
조선의 자주독립을 지키는 과정에서 나타난 서로
선 후기』, 가람기획, 2016.
가치·태도 대립되는 주장이나 생각을 살펴보면서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 사료를 바탕으로 조선 후기 사회 변화와 개혁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서술하였다.
정승모 글, 강영지 그림, 『한양 1770년』, 보림출판사, 2012.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 조선 후기 한양의 모습을 풍속화 등 사료를 기반으로
표현한 그림 동화책이다. 초등학생이 접근하기 쉽도록
새로운 사회를 만들려는
노력과 그 의의 알아보기 구체적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새로운 한국생활사박물관 편찬위원회, 『한국생활사박물관 11』,
사회의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 사계절, 2004.
변화 모습을
새로운 사회를 모습이 담겨 있는
탐색하고 - 개항 이후 조선의 변화를 생활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향한 움직임 작품 조사하기
사회 개혁을
시각 자료와 풍부한 사료를 바탕으로 개항 이후 개
위한 노력
탐색하기 화기 조선의 근대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의 자주독립을
지키는 과정에서 나타난 강화역사박물관(www.ganghwa.go.kr)
서로 대립되는 주장이나 - 병인양요, 신미양요 등 조선 후기 외세의 침략과 항
생각 비교해 보기
쟁의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215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