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2 - ele_society_5-2_tutor
P. 212

4  대단원 평가 계획

                   중단원                                평가 내용                               평가 방법
                                 •  새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과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구술 평가
                                 •  조선 후기 서민의 생활 모습이 담겨 있는 작품이 가진 의미를
                                                                                         포트폴리오
               새로운 사회를 향한          설명할 수 있다.
                                                                                          관찰 평가
                    움직임          •  조선의 자주독립을 지키는 과정에서 나타난 서로 대립되는 주
                                                                                          동료 평가
                                   장이나 의견을 살펴보면서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할 수 있다.
                                 •  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 광복을 위해 힘쓴 인물들
                                                                                         서술형 평가
                                   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  일제의 침략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이를 극복하려는 우리
                 일제의 침략과                                                                 포트폴리오
                                   민족의 다양한 노력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광복을 위한 노력
                                 •  일제로부터 우리나라를 지키고 되찾으려는 우리 민족의 노력
                                                                                          자기 평가
                                   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   8 · 15 광복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을 역사적 사건과 인물
                                                                                          구술 평가
                                   들을 중심으로 파악하고 정부 수립의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6 · 25 전쟁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과          고, 설명할 수 있다.                                           관찰 평가
                  6·25 전쟁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6 · 25 전쟁의 피해상과 영향을 탐구
                                                                                         서술형 평가
                                   할 수 있다.

            5  대단원 평가 기준


                 교육과정 성취 기준               평가 준거 성취 기준                           평가 기준
            [6사04-01] 영·정조 시기의  [6사04-01-00] 영·정조 시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          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상    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
            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                       화 모습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
                                      한다.
                                                                중    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의 변화 모습을 제
                                                                     시할 수 있다.
                                                                     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
                                                                하
                                                                     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6사04-02] 조선 사회의 모순       [6사04-02-00] 조선 사회의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개혁을 시도
            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한 주요 인물의 활동을 제시하고, 사회 변화
                                                                상
            한 인물(정약용, 흥선 대원군,  시도한 인물(정약용, 흥선 대                      를 위한 옛사람들의 노력과 노력의 의의를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활동을  원군,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설명할 수 있다.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옛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개혁을 시도
            사람들의 노력을 탐색한다.            위한 옛사람들의 노력을 탐색
                                                                중    한 주요 인물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한다.
                                                                     위한 옛사람들의 노력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자 개혁을 시도
                                                                하
                                                                     한 주요 인물과 활동을 관련지을 수 있다.



           210    각론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