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8 - ele_society_5-2_tutor
P. 218

1~2차시
                                                                                        교과서  88~89   쪽
               1       영조와 정조의              를                     영조는 백성들을 위한 개혁 정치를 실시하였다. 백성들의 세금 부담

                       알아볼까요                                     이 커지자 균역법을 실시하여 세금을 줄여 주고, 백성에 대한 가혹한   균역법  상민들은 군대를 가는
                                                                                               대신 1년에 옷감 두 필(군포)
                                                                 형벌을  금지하였다.  또한  굶주리는  백성들을  보살펴  주고,  청계천을
                                                                                               을 세금으로 내야 했는데, 영조
                                                                                               가 한 필로 줄여 줌.
                                                                 정비하여 홍수를 예방하기도 하였다.
                       영조의 탕평 정치                                        영조의 청계천 정비
                        조선의 지배층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며, 학문 연
                                                                    영조  때  한양의  인구가  늘어나고  집터가  부족해지면서  가난한  백성은  청계천과  같은  개천가에
             붕당  학문적·정치적으로 생각  구를 하였다. 이들은 붕당을 이루어 정치를 이끌어 나갔다. 처음에는   움막을 짓고 살았다.
             을 같이하는 정치 집단.
                       상대 붕당의 의견을 존중하고 학문적 차이를 인정하는 한편, 서로의
                                                                    한양에 몰려든 사람이   산에 나무가 줄어드니,
                       정책을 비판하고 견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점차 붕당 간의 의견 대        너도나도 땔감을 베어 가니   비가 오면 흙과 모래가 쓸려   큰비가 오면
                                                                    산이 점점 벌거숭이가 되네.  개천으로 흘러 들어가는군.   청계천이 넘치네!
                       립이 발생하고 서로 경쟁이 치열해졌다.
                        영조는 붕당 간의 대립을 줄이고 한 붕당이 권력을 독차지하는 것
             탕평책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을 막기 위해 탕평책을 실시하였다. 탕평책의 실시로 왕권이 강화되고
             나랏일을 함께할 인재를 고르
             게 뽑아 쓰는 정책.  정치가 안정되었다.
                   붕당 간의 대립             탕평책 실시                       영조는 홍수 피해를 줄이고 가난한 백성에게 일자리를 주기 위해 청계천 정비 사업을 벌였다.
                조정에서 각 당파가 날이 갈수록 사이가 나     두루 사귀며 편을 나누지 않는 것은 군자의
               빠져 서로 역적이란 이름으로 모함하니 ……   마음이요, 편을 가르고 두루 사귀지 않는 것
                       - 이중환, 『택리지』 -   은 소인의 마음이다.
                                               성균관에 탕평비를
                                              세워 나의 탕평 의지를
             저들은 역적의                            널리 알려라!
              무리이니 엄한 벌을
              내리소서!
                                     탕평비(서울특별시 종로구)

          88 8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89
                                                                                                      89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영조와 정조의 개혁 정책을 설명할 수 있다.
                                                               동기 유발하기
              조선 후기에 나타난 사회 변화의 모습을 말할 수 있다.
                                                             •  탕평채라는 음식의 이름을 들어 본 적이 있나요?
             수업의 흐름                                           –  있습니다. 청포묵과 달걀, 당근, 오이 등 여러 재료

             도입    탕평채 음식으로 동기 유발하기                             를 섞어 만든 음식입니다.

                   ➊    영조의 탕평 정치 살펴보기                       •  탕평채는 영조가 탕평책을 신하들과 논하는 자리에 올렸

                   ➋     아! 그렇구나 영조의 청계천 정비                   던 음식입니다. 다양한 재료를 한데 섞어 조화를 이룬다는
             전개    ➌ 정조의 개혁 정치 알아보기                           의미로 탕평채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탕평채는 오늘 배울
                   ➍    궁금해요 조선 후기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내용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 영조와 정조의 개혁 정치 정리하기                        – 영조의 탕평 정치에 대해 배울 것 같습니다.
             정리   •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모습 정리하기                      –  여러 가지 재료가 섞여 조화를 이루는 탕평채처럼
                                                                신하들이 사이좋게 지내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실행

                                                                한 영조의 개혁 정치에 대해 배울 것 같습니다.
                                                                 수업 제안  탕평채를 모르는 학생들을 위해 탕평채 사진을 준
                                                              비해 보여 주고 탕평채의 의미와 탕평책의 내용을 연관 지어 생
                                                              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216    각론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