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3 - ele_society_5-2_tutor
P. 223

•  전국적으로 5일장이 많이 생기면서 장시가 늘었습니다.                    확인해요
                   장시가 늘어나면서 사회적으로 어떤 변화가 일어났을까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장사하는 사람들이 더 늘어났을 것 같습니다.
                  –  물건을 사고팔기 위해 새로운 직업들이 생겨났을 것                    ①  영조는  백성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  주기  위해              2
                                                                      ( 균역법 )을/를 실시하였다.
                    같습니다.                                                                                          단원
                                                                    ②  정조는 수원에 ( 화성  )을/를 건설하여 군사와 상업
                 •  교과서 92쪽의 그림을 보고 장시에서 어떤 물건이 거래되
                                                                      의 중심지로 삼고자 하였다.
                   었을지 이야기해 봅시다.
                  – 그릇을 팔았을 것 같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비단과 곡식 등을 팔았을 것 같습니다.
                                                                  •  다음 시간에는 조선 후기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  92쪽 김홍도의 주막 그림을 봅시다. 주막은 어떤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하였을까요?
                  –  장사하는 사람이나 오가는 사람에게 음식과 잠자리
                    를 제공하였습니다.                                      판서하기
                 •  이번에는 조선 후기에 들어온 새로운 문물을 살펴봅시다.                  3. 조선 후기에 나타난 변화
                   병자호란이 끝난 후 조선 사람들은 청을 어떻게 생각하였
                                                                        모내기법과 상품 작물 재배로 농업 생산력이 높아
                   을까요?
                                                                       짐. → 일부 농민들은 부자가 되었지만, 그렇지 못
                  –  우리나라를 침략한 적으로 보았을 것입니다.                           한 농민들은 머슴이 되거나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  오랑캐라고 생각하고 무시하였습니다.                               떠남.

                  –  강한 나라라고 생각하였을 것입니다.                                농업 생산량의 증가 → 상업의 발달로 이어짐.
                 •  병자호란 뒤 조선은 청에 사신을 파견하였습니다. 청에 다                     포구와 장시가 상업 중심지로 발달함.
                   녀온 사신들은 청의 발전된 문물에 깜짝 놀랐습니다. 이들                      청에 다녀온 사신들이 청에서 서양 문물을 들여옴.
                   은 어떤 물건을 가져왔나요?                                     → 서양의 세계 지도와 과학 기술 서적, 자명종 등

                  –  서양의 세계 지도와 과학 기술 서적을 들여왔습니다.                      의 물건을 가져와 소개함.
                  –  자명종, 천리경도 있었습니다.                                   사신을 따라 청에 다녀온 박지원이 청에서 경험한
                                                                       것을 『열하일기』로 펴냄. → 수레, 물레방아, 벽돌
                 •  박지원은 청에 다녀온 경험을 글로 남겼는데, 책 이름이
                                                                       등 청 문물의 우수함을 설명하고 이를 받아들여야
                   무엇인가요?
                                                                       한다고 주장함.
                  –  『열하일기』입니다.
                                                                    교과서 자료
                 • 박지원은 『열하일기』에 어떤 내용을 실었나요?
                  –  물레방아를 소개하였습니다.                                  교과서 92쪽 용어 장시
                                                                       조선 후기 상업이 발달하면서 장시가 빠르게 성장
                  –  청에서 본 벽돌로 쌓은 담장, 수레 등 청 문물의 우
                                                                     하였다. 장시는 지방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시장을
                    수성을 설명하고 이를 적극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
                                                                     말한다. 장시는 단순 물물 교환을 넘어 상품 교환의
                    을 실었습니다.
                                                                     무대가 되면서 새로운 유통망으로 거듭났다. 조선 시
                  –  청을 무시하며 조선 문화가 가장 우수하다고 생각하
                                                                     대에는 전문 상인보다는 직접 농사지으면서 물건을
                    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고 하였습니다.                            사고파는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매일 점포를 여는 시

                                                                     장보다는 5일마다 정기적으로 열리는 5일장이 더 적
                  정리                                                 합하였다. 보부상들은 주변의 5일장을 묶어 장시 사

                    학습 내용 정리하기                                       이를 돌아다니면서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역
                                                                     할을 하였다. 보통 5일장은 하루 걸어서 왕복할 수 있
                 •  영조와 정조의 개혁 정치를 정리해 봅시다.
                                                                     는 30~60리 간격으로 열렸다.
                 • 조선 후기 사회의 변화 모습을 정리해 봅시다.


                                                                                                         221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18   219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