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5 - ele_society_5-2_tutor
P. 225

교과서  96   쪽
                                                                    예시 답안
                                                                      공정한 세금 징수, 부정한 아전 단속, 가난한 백성 구
                              더 나은 사회를 향한 다양한 노력                         3        조선 후기에 발달한
                                                                    제, 관직 매매 금지 등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였습니다.
                                                                                  서민      화를 알아볼까요                 2
                        조선 후기의 여러 학자들은 새로운 문물과 현실 문제에 관심을 두고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였다.
                        서유구는  백과사전인  『임원경제지』에서                    ➍ 별별 이야기 _ 더 나은 사회를 향한 다양한 노력                    단원
                        사대부들이 익혀야 할 조선의 풍토에 맞는 농촌                      서민 문화의 발전
                        생활 지식을 다루었다.
                                                                  •  조선 후기에 학자들이 백성의 실생활에 도움을 주기 위해
                                                                        조선 후기에는 농업 생산력이 높아지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서
                                                                       민들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다. 또한 서당이 널리
                                                                    어떤 연구를 하였는지 살펴봅시다.
                                                                       보급되고 한글 사용이 늘어나면서 서민들이 문화와 예술에 관심
                                                                    –  서유구는 조선의 풍토에 맞는 농촌 생활 지식을 담
                                                                       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에 양반뿐만 아니라 서민도 참여할 수 있
                                                                       는 문화가 발달하였는데, 이를 서민 문화라고 한다.
                                                                      은 『임원경제지』라는 백과사전을 펴냈습니다.
                                                                                                    김홍도, 「서당도」(국립중앙박물관)
                                                                          한글 소설
                                                                    – 정약전은 유배지 흑산도에서 『자산어보』를 썼습니다.
                                          정약전은 유배지인 흑산도에서 물고기의 종류,       양반 중심의 문화에서 벗어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솔직하게
                                                                         사람들의 생각을 표현한 문학 작품이 유행하였다. 신분을 뛰어넘은
                                         모양,  잡는  방법  등을  기록한  『자산어보』를  펴   –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여 우리나라 지도
                                         냈다.                             사랑 이야기를 담은 『춘향전』, 이상적 사회를 표현한 『홍길동전』 등
                                                                         한글 소설이 널리 읽혔다.
                                                                      를 정밀하게 표현하였습니다.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제작하여 오늘날의 지도와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을 정도로 산, 강, 도로를 정밀하게 표현하였다.
                                                                                         나는야 전기수!
                                                                                        사람들에게 소설을 읽어
                           「대동여지도」 전도                               –  빙허각 이씨는 『규합총서』를 펴내 가정 살림에 필요
                           (서울대학교 규장각)                                                   주고 돈을 받지!
                                                                      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책가도」(국립민속박물관) 조선 후기에는
                                                                                                 책장과 책을 그린 책가도가 유행하였다.
                                                                   정리                            사람들은 비싸서 쉽게 살 수 없는 책을 가
                                                                                                 지고 싶은 마음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빙허각 이씨는 음식하는 방법,
                                               옷 만드는 방법 등 가정 살림에     학습 내용 정리하기
                        「대동여지도」(국립중앙박물관) 지도의 각 첩을 접으면 한 권   필요한  내용을  정리한  『규합
                        크기로 줄어들어 들고 다니기에 편리하였다.   총서』를 펴냈다.
                                                                  •  조선 후기의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정리해 봅
                  96 96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시다.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97
                                                                     확인해요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지도상의 유의점  교과서 94쪽 삽화를 보면서 관리들이 더 많
                   은 세금을 거두기 위해 어떤 방법을 썼는지 설명한다.                      ( 정약용 )은/는  『목민심서』를  지어  수령이  지켜야
                 ➋ 정약용의 활동 알아보기                                     할 덕목을 제시하였다.
                 •  정약용은 힘든 백성을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나요?
                                                                     차시 예고하기
                  –  백성을 괴롭히는 수령의 잘못을 비판하고 수령이 지
                                                                  •  다음 시간에는 조선 후기에 발달한 서민 문화에 대해 알아
                    켜야 할 덕목을 제시하였습니다.
                                                                    보겠습니다.
                  – 백성의 삶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연구하였습니다.
                                                                    판서하기
                 ➌ 탐구해요 _ 정약용이 제시한 사회 문제 해결 방법
                                                                    1. 조선 후기의 정치와 사회 불안
                       다음은 정약용의 『목민심서』 중 일부 내용이다. 글                     정조가 죽은 뒤 왕실의 외척 가문이 높은 관직을
                   을 읽고 물음에 답해 보자.                                     독차지함. → 뇌물을 받거나 벼슬을 팔았음.
                   1.  정약용은 조선 후기 사회의 문제점이 무엇이라고                        뇌물을 바친 관리들이 탐관오리가 됨. → 갖가지
                     했는지 써 보자.                                         수단으로 농민들에게서 세금을 거두어들임.

                   예시 답안                                            2. 정약용의 학문 연구
                    수령이 세금을 거두는 데만 신경 쓰고 백성을 돌보                           『목민심서』를 지음. → 백성을 괴롭히는 수령을
                   지 않고 있음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습니다.                              비판하고 수령이 지켜야 할 덕목을 제시함.
                                                                        백성의 삶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연구함. → 기술,
                   2.  정약용은 수령이 해야 할 일은 무엇이라고 생각했
                                                                       경제, 농업 등에서 실용적인 학문을 연구함.
                     는지 써 보자.


                                                                                                         223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20   221   222   223   224   225   226   227   228   229   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