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0 - ele_society_5-2_tutor
P. 230
6 차시
교과서 103 쪽
5
강화도 조약 개화기 조선 사람들이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군이 흩어진 후, 일본은 조선에서 영향력을 넓히기 위해
청에 갔다가 서양의 발전된 문물을 보고 온 사람들은 서양의 개항 이후 물가가 오르고 지방 관리들의 수탈과 횡포가 계속되자, 청을 공격하여 전쟁을 일으켰다(청일 전쟁). 이어 일본군이 경복궁을 청일 전쟁 청과 일본이 조선
의 지배권을 놓고 벌인 전쟁.
제도를 받아들여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꿈꾸던 나라 를 알아볼까요 동학 조선 후기 관리들의 수 농민들 사이에 동학이 널리 퍼졌다. 침입하자 동학 농민군은 일본군이 조선에서 물러날 것을 주장하며
탈과 서학(천주교)에 대응하여
흥선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직접 정치에 나서면서 더욱 최제우가 세상과 백성을 구하 1894년 전라도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에 저항하여 동학 지도자 다시 들고일어나 한양으로 진격하였다. 그러나 신식 무기로 무장한 일
려고 만든 민족 종교.
힘을 얻었다. 전봉준을 중심으로 농민들이 들고일어났다. 전봉준과 동학 농민군은 본군과 관군의 상대가 되지 못하였다. 결국 전봉준을 비롯한 지도자가
1875년, 일본이 강화도를 공격하고 영종도를 약탈하는 사건이 개화를 둘러싼 갈등 1884년 갑신정변 전라도 일대를 장악하고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붙잡히면서 동학 농민 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일어났다. 일본은 오히려 조선 군대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며 군함을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은 개화 정책을 펼쳤다. 해외에 사신을 보내어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이에 조선 정부는 농민군 진압을 위해 청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후 조선 정부는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에서 나온 개혁 요구
보내 통상을 요구하였다. 결국 조선은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개항 제도를 살펴보고, 무기 제조 기술과 군사 훈련법 등을 배워 오도록 하 1894년 청일 전쟁 청이 조선에 군대를 보내자 일본도 군대를 보냈다. 그러자 동학 농민 중 일부를 받아들여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다. 갑오개혁 추진으로 조선은
하였다. 강화도 조약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지만 조약 였다. 그러나 정부의 개화 정책은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고, 1894년 갑오개혁 재판을 받기 위해 이송되는 군은 외국 군대의 개입을 막기 위해 정부와 협상해 개혁을 약속받고 신분제와 과거제를 폐지하는 등 근대적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에 담긴 일부 내용이 조선에 불평등하였다. 개화 세력은 개혁 방향을 두고 두 갈래로 나뉘었다. 개화 서양 나라의 발전된 문 전봉준 전주성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자기 고을에서 개혁을 추진하려고 노력
최익현을 비롯한 조선의 선비들은 개항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화와 제도를 받아들이는 것. 하였다.
개화기 조선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한 사회 문제
강화도 조약을 맺은 뒤에는 궁궐 앞에 엎드려 통곡하며 조약을 반대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하였다. 갑신정변의 개혁안(1884년) 동학 농민군의 개혁안(1894년)
김홍집 청과의 관계와 전 청의 간섭을 물리 김옥균
통적인 유교 문화를 • 문벌을 폐지하고, 백성들이 평등한 권 • 탐관오리의 죄를 조사하여 엄하게 벌
강화도 조약의 불평등한 요소 유지하면서 제한적 치고 서양의 법과 기 리를 갖는 제도를 만들며, 능력에 따 한다.
라 관리를 임명한다. • 노비 문서를 불태운다.
술, 제도를 모두 받
으로 서양의 기술을
아들여 적극적으로 • 토지, 세금 제도를 개혁하여 백성들의 • 천한 신분의 대우를 개선한다.
제7관 일본인이 조선의 해안을 자유롭게 제10관 일본국 국민이 조선국 항구에서 죄 받아들여야 합니다. 개화해야 합니다.
부담을 덜어 주고 국가 살림을 튼튼히 • 정해진 세금 외에 잡다한 세금을 폐지
측량하는 것을 허가한다. 를 지었을 경우, 일본국 관리가 심
한다. 한다.
판한다.
조선의 해안을 문벌 대대로 내려오는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일본과 협력하는 사람은 엄하게 벌한다.
자유롭게 측량하면 조선에 우리가
침입할 때 유리한 조선에서 나쁜 짓을 갑신정변
지점을 알 수 있겠군. 해도 조선 사람은 1
우리를 벌할 수 없지!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는 조선이 적극적으로 개화 정책을 위의 두 개혁안을 보고 공통적으로 알 수 있는 사회 문제를 정리해 보자.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군사적 지원을 약속받고
일본인이 조선에서 죄를 지어도 조선의 법
해안을 자유롭게 측량할 수 있는 권한은 군 우정총국 개국 잔치를 기회로 정변을 일으켰다(갑신정변). 이어 새로운 우정총국 조선 후기 우편 업무
으로 처벌하지 못하여 일본인의 불법 행위에 를 맡았던 관청. 2 위의 두 개혁안을 보고 조선 사람들이 원했던 사회 모습을 정리해 보자.
사적 침입의 여지를 줄 수 있었다. 정부를 구성하고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려고 하였다.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정변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그러나 청 군대의 진압과 일본의 배신으로 갑신정변은 3일 만에 일어난 정치상의 급격한 변화.
끝나고 김옥균 등 정변을 주도한 사람들은 일본으로 몸을 피하였다.
1 흥선 대원군은 적극적으로 조선을 개항하고자 하였다. ( ◯, × ) 갑신정변은 새로운 조선을 만들려는 개혁 시도였지만, 외세의 힘을 빌
동학 농민군은 다른 나라의 힘을 빌려 조선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 ◯, × )
2 강화도 조약은 조선과 일본이 대등한 관계에서 맺은 평등한 조약이었다. ( ◯, × )
렸고 많은 사람의 지지를 받지 못해 실패로 끝났다.
103 10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0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103 104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105
차시 안내 수업 흐름
수업 목표 도입
개화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전시 학습 내용 확인하기
수업의 흐름 • 흥선 대원군은 서양 나라와의 교류에 어떤 입장이었나요?
흥선 대원군 퇴진 후 서양 나라와의 교류에 대한 – 통상 요구를 단호히 거부하고 서양의 나라와 교류하
도입
조선 정부의 태도 이야기하기 지 않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➊ 개항 이후 개화를 둘러싼 갈등 살펴보기 •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뒤 서양의 나라와 교류하는 일에 대
➋ 갑신정변 알아보기 해 조선 정부의 생각은 어떻게 달라졌나요?
➌ 동학 농민 운동 알아보기
전개 – 서양의 나라와 교류해야 한다는 주장에 관심을 가졌
➍ 탐구해요 개화기 조선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한
습니다.
사회 문제
–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개항하였습니다.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을 중심으로 개화기 사
정리 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정리하기 전개
➊ 개항 이후 개화를 둘러싼 갈등 살펴보기
• 개항 이후 조선은 어떤 개화 정책을 추진하였나요?
– 해외에 사신을 보내어 제도를 살펴보고, 무기 제조
기술, 군사 훈련법 등을 배워 오도록 하였습니다.
228 각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