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5 - ele_society_5-2_tutor
P. 235

➎  별별 이야기 _ 개화기 신문물이 가져온 변화                        판서하기
                 •  교과서 109쪽을 보면서 개항 이후에 서양의 새로운 문물
                                                                    3. 대한 제국의 수립
                   이 들어와 사회의 모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말해 볼까
                                                                        자주 국가의 바람이 커지면서 고종이 러시아 공사
                   요?                                                                                              2
                                                                       관에서 궁궐로 돌아옴.
                  – 교통수단으로 전차를 이용하였습니다.                                 외세로부터 자주독립을 지키기 위해 고종이 황제                  단원
                  –  전기를 이용하면서 거리에 가로등이 설치되어 밤에                        가 되어 대한 제국의 수립을 선포함(1897).
                    도 다닐 수 있었습니다.                                   4. 대한 제국의 개혁 추진

                  –  전화를 이용하여 소식을 빠르게 전하였습니다.                           대한 제국은 군사권, 외교권, 사법권 등 모든 권한
                  –  커피, 빵 등 서양 음식을 먹었습니다.                             이 황제에게 집중된 나라를 추구함.
                  –  양복을 입고 모자를 쓰는 등 서양식 옷차림이 유행                        전통적인 제도를 바탕으로 서양의 발달된 문물을
                    하였습니다.                                             받아들여 여러 제도를 개선함.
                  –  여자들도 학교에 다니며 신식 교육을 받았습니다.                       - 군사 제도를 개선하여 군사력을 강화함.
                                                                      - 상공업 발전을 위해 공장과 회사 설립을 지원함.
                  –  서양식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신식 학교나 교회가
                                                                      - 외국에 유학생을 보내 기술을 배우게 함.
                    들어섰습니다.
                                                                      - 학교를 세워 인재를 양성함.
                 •  한양에 새로운 교통수단인 전차가 등장하였을 때 사람들
                   은 어떤 생각을 하였을까요?                                  교과서 자료

                  – 무서워했을 것 같습니다.                                    교과서 108쪽 사진 환구단과 황궁우
                  – 신기하다고 느꼈을 것 같습니다.                                  환구단은 천자가 하늘에 제를 올리는 제단으로, 고
                  – 전차의 빠른 속도에 놀랐을 것 같습니다.                           종은 황제 즉위식을 위해 환구단을 쌓고 하늘에 고하
                                                                     는 의식을 행하였다. 그 북쪽에 있는 황궁우는 하늘
                     수업 제안  개화기에 대한 방송 영상을 시청하면서 신문물에
                                                                     신과 조상신의 위패를 모신 곳으로 대한 제국이 수립
                   대해 당시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였는지 살펴보고 이야기할 수
                   있다.                                               된 이후 1899년에 세워졌다.
                                                                     교과서 108쪽 사진 종로 거리의 전차
                  정리                                                   1899년에 한양에서 전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독
                                                                     립신문』에 따르면 개통 초기에 전차의 인기는 폭발적
                    학습 내용 정리하기
                                                                     이었다. 승차한 사람들은 동대문과 서대문 사이를 왕
                 •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이 자주독립과 사회 문제를 해결하
                                                                     복하면서 좀처럼 내리지 않으려고 했고, 전차만 타다
                   기 위해 펼친 노력을 정리해 봅시다.
                                                                     재산을 탕진한 사람도 있었다. 반면 개통한 후 얼마
                    확인해요                                             지나지 않아 종로 거리에서 다섯 살 아이가 전차에 치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여 죽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여러 사람이 화가 나 전
                                                                     차를 파괴하고 불태워 버렸다는 기록이 『고종실록』에

                   ①  고종은 을미사변 이후 일본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실렸다. 전차는 당시 사람들에게 신기함과 동시에 두
                     위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몸을 피하였다. ( ◯, × )                  려움을 갖게 만든 존재였던 것이다.
                   ②  독립 협회는 ( 만민 공동회 )을/를 열어 외세의 간섭
                     과 낡은 사회 제도를 비판하였다.
                      고종은 외세로부터 자주독립을 지키려는 의지를 담
                     아 황제가 되어 ( 대한 제국 )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차시 예고하기
                 •  다음 시간에는 ‘뚝딱뚝딱 정리하기’로 중단원을 마무리하
                                                                     ▲ 대한 제국 시기 운행된 전차
                   겠습니다.


                                                                                                         233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30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