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1 - ele_society_5-2_tutor
P. 231
교과서 104~105 쪽
➍ 탐구해요 _ 개화기 조선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한 사회 문제
동학 농민 운동 동학 농민군이 흩어진 후, 일본은 조선에서 영향력을 넓히기 위해 1. 위의 두 개혁안을 보고 공통적으로 알 수 있는 사회
개항 이후 물가가 오르고 지방 관리들의 수탈과 횡포가 계속되자, 청을 공격하여 전쟁을 일으켰다(청일 전쟁). 이어 일본군이 경복궁을 청일 전쟁 청과 일본이 조선
의 지배권을 놓고 벌인 전쟁. 문제를 정리해 보자.
동학 조선 후기 관리들의 수 농민들 사이에 동학이 널리 퍼졌다. 침입하자 동학 농민군은 일본군이 조선에서 물러날 것을 주장하며 2
탈과 서학(천주교)에 대응하여 다시 들고일어나 한양으로 진격하였다. 그러나 신식 무기로 무장한 일
최제우가 세상과 백성을 구하 1894년 전라도 고부 군수 조병갑의 횡포에 저항하여 동학 지도자 예시 답안
려고 만든 민족 종교.
전봉준을 중심으로 농민들이 들고일어났다. 전봉준과 동학 농민군은 본군과 관군의 상대가 되지 못하였다. 결국 전봉준을 비롯한 지도자가 단원
전라도 일대를 장악하고 전주성을 점령하였다. 붙잡히면서 동학 농민 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 신분에 따른 차별이 있었습니다.
이에 조선 정부는 농민군 진압을 위해 청에 도움을 요청하였다. 이후 조선 정부는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에서 나온 개혁 요구
청이 조선에 군대를 보내자 일본도 군대를 보냈다. 그러자 동학 농민 중 일부를 받아들여 갑오개혁을 추진하였다. 갑오개혁 추진으로 조선은 - 백성이 무거운 세금에 시달렸습니다.
군은 외국 군대의 개입을 막기 위해 정부와 협상해 개혁을 약속받고 신분제와 과거제를 폐지하는 등 근대적인 모습을 갖추기 시작하였다.
재판을 받기 위해 이송되는
전봉준 전주성에서 물러났다. 그리고 자기 고을에서 개혁을 추진하려고 노력 2. 위의 두 개혁안을 보고 조선 사람들이 원했던 사회
하였다.
개화기 조선 사람들이 해결하고자 한 사회 문제 모습을 정리해 보자.
갑신정변의 개혁안(1884년) 동학 농민군의 개혁안(1894년)
예시 답안
• 문벌을 폐지하고, 백성들이 평등한 권 • 탐관오리의 죄를 조사하여 엄하게 벌
리를 갖는 제도를 만들며, 능력에 따 한다. -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사는 사회를 원했습니다.
라 관리를 임명한다. • 노비 문서를 불태운다.
• 토지, 세금 제도를 개혁하여 백성들의 • 천한 신분의 대우를 개선한다. - 탐관오리도 없고 세금 제도도 제대로 운영되어 사람
부담을 덜어 주고 국가 살림을 튼튼히 • 정해진 세금 외에 잡다한 세금을 폐지
한다. 한다. 들의 생활이 힘들지 않기를 원했습니다.
•일본과 협력하는 사람은 엄하게 벌한다.
문벌 대대로 내려오는 사회적 신분이나 지위.
1 위의 두 개혁안을 보고 공통적으로 알 수 있는 사회 문제를 정리해 보자.
정리
2 위의 두 개혁안을 보고 조선 사람들이 원했던 사회 모습을 정리해 보자. 학습 내용 정리하기
• 개화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정리해 봅시다.
동학 농민군은 다른 나라의 힘을 빌려 조선을 개혁하고자 하였다. ( ◯, × )
확인해요
105
10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105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동학 농민군은 다른 나라의 힘을 빌려 조선을 개혁
하고자 하였다. ( ◯, × )
• 서양의 기술과 제도를 모두 받아들여 적극적으로 개화하
자고 주장한 사람들은 누구입니까?
차시 예고하기
– 김옥균을 비롯한 급진 개화파입니다.
• 다음 시간에는 독립 협회와 대한 제국이 추구한 나라의 모
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➋ 갑신정변 알아보기
• 급진 개화파는 왜 갑신정변을 일으켰나요? 판서하기
– 적극적으로 개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 1. 개화 정책의 추진
습니다. 강화도 조약 이후 정부가 개화 정책을 추진하였지
• 갑신정변이 실패한 까닭은 무엇인가요? 만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함.
– 청 군대의 진압과 일본의 배신 때문입니다.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가 적극적으로 개혁
정책을 추진하고자 갑신정변을 일으킴. → 청 군대
➌ 동학 농민 운동 알아보기 의 진압과 일본의 배신으로 실패함.
• 전봉준을 중심으로 농민들은 왜 들고일어났나요? 2.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 지방 관리들의 수탈과 횡포에 시달렸습니다. 지방관의 수탈에 맞서 전봉준을 중심으로 농민들이
• 전주성을 점령한 뒤 동학 농민군은 외국 군대의 개입을 막 일어남. → 정부의 개혁 약속을 받고 전주성에서 물
기 위해 어떤 결정을 내렸나요? 러난 이후 자기 고을에서 개혁을 추진하려고 노력함.
– 정부와 협상하여 개혁을 약속받고 물러났습니다. 일본군의 경복궁 침입에 다시 일어났으나 실패함.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에서 나온 개혁 요구 중
• 동학 농민군이 다시 들고일어난 까닭은 무엇인가요?
일부가 갑오개혁에서 실현됨.
– 일본군이 경복궁을 침입하였기 때문입니다.
229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