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9 - ele_society_5-2_tutor
P. 229

교과서  102   쪽
                                                                  ➌ 개항 과정과 강화도 조약 살펴보기
                                                                  •  청에 다녀온 사람들은 외국과 교류하는 일을 어떻게 생각
                                강화도 조약                                  5        개화기 조선 사람들이
                                                                    했나요?
                                 청에 갔다가 서양의 발전된 문물을 보고 온 사람들은 서양의
                                                                                 꿈꾸던  나라
                                                                                             를 알아볼까요
                                제도를 받아들여 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 주장은   –  서양의 발전된 제도를 받아들여 개혁을 추진해야 한                2
                                흥선  대원군이  물러나고  고종이  직접  정치에  나서면서  더욱
                                힘을 얻었다.                               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단원
                               1875년,  일본이  강화도를  공격하고  영종도를  약탈하는  사건이     개화를 둘러싼 갈등                1884년  갑신정변
                             일어났다. 일본은 오히려 조선 군대에 의해 피해를 입었다며 군함을   • 조선은 어떤 과정을 거쳐 개항하였나요?           1894년  동학 농민 운동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은 개화 정책을 펼쳤다. 해외에 사신을 보내어
                             보내 통상을 요구하였다. 결국 조선은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개항    제도를 살펴보고, 무기 제조 기술과 군사 훈련법 등을 배워 오도록 하  1894년  청일 전쟁
                                                                                                         갑오개혁
                                                                                                      1894년
                             하였다. 강화도 조약은 외국과 맺은 최초의 근대적 조약이지만 조약   –  강화도를 공격하며 위협하는 일본과 강화도 조약을
                                                                       였다.  그러나  정부의  개화  정책은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고,
                             에 담긴 일부 내용이 조선에 불평등하였다.                   개화 세력은 개혁 방향을 두고 두 갈래로 나뉘었다.  개화  서양 나라의 발전된 문
                                                                      맺고 개항하였습니다.
                              최익현을 비롯한 조선의 선비들은 개항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                                    화와 제도를 받아들이는 것.
                             강화도 조약을 맺은 뒤에는 궁궐 앞에 엎드려 통곡하며 조약을 반대
                                                                                  온건 개화파
                                                                                            급진 개화파
                             하였다.                                 ➍ 아! 그렇구나 _ 강화도 조약의 불평등한 요소
                                                                        김홍집       청과의 관계와 전  청의 간섭을 물리  김옥균
                                                                                 통적인 유교 문화를
                                                                  •  제7관과 제10관에서 알 수 있는 강화도 조약의 특징을 말
                                                                                           치고 서양의 법과 기
                           강화도 조약의 불평등한 요소                                       유지하면서 제한적
                                                                                           술, 제도를 모두 받
                                                                    해 볼까요?       으로 서양의 기술을   아들여 적극적으로
                     제7관   일본인이  조선의  해안을  자유롭게   제10관  일본국 국민이 조선국 항구에서 죄       받아들여야 합니다.    개화해야 합니다.
                        측량하는 것을 허가한다.       를 지었을 경우, 일본국 관리가 심     – 조선에 불평등한 요소가 담긴 조약이었습니다.
                                            판한다.
                                조선의 해안을
                              자유롭게 측량하면 조선에   우리가
                               침입할 때 유리한   조선에서 나쁜 짓을                  갑신정변
                               지점을 알 수 있겠군.   해도 조선 사람은            정리
                                        우리를 벌할 수 없지!                    김옥균,  박영효  등  급진  개화파는  조선이  적극적으로  개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들은 일본의 군사적 지원을 약속받고
                                         일본인이 조선에서 죄를 지어도 조선의 법      학습 내용 정리하기
                     해안을 자유롭게 측량할 수 있는 권한은 군                           우정총국 개국 잔치를 기회로 정변을 일으켰다(갑신정변). 이어 새로운   우정총국  조선 후기 우편 업무
                                        으로 처벌하지 못하여 일본인의 불법 행위에                                      를 맡았던 관청.
                     사적 침입의 여지를 줄 수 있었다.                               정부를 구성하고 근대적 개혁을 추진하려고 하였다.
                                        제대로 대응하기 어려웠다.            •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를 정리해 봅시다.          정변  정당하지 않은 방법으로
                                                                        그러나  청  군대의  진압과  일본의  배신으로  갑신정변은  3일  만에     일어난 정치상의 급격한 변화.
                                                                       끝나고  김옥균  등  정변을  주도한  사람들은  일본으로  몸을  피하였다.
                                                                  • 조선의 개항 과정을 정리해 봅시다.
                        1    흥선 대원군은 적극적으로 조선을 개항하고자 하였다.  ( ◯,  ×  )   갑신정변은 새로운 조선을 만들려는 개혁 시도였지만, 외세의 힘을 빌
                        2    강화도 조약은 조선과 일본이 대등한 관계에서 맺은 평등한 조약이었다.  ( ◯,  ×  )
                                                                       렸고 많은 사람의 지지를 받지 못해 실패로 끝났다.
                                                                     확인해요
                 10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103
                   102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①  흥선 대원군은 적극적으로 조선을 개항하고자 하였
                 •  흥선 대원군은 많은 수의 서원을 왜 정리하였나요?                       다. ( ◯, × )
                  –  서원에 세금 면제 등 혜택을 주었는데, 이를 이용하                   ②  강화도 조약은 조선과 일본이 대등한 관계에서 맺

                    는 서원이 많이 생겨 나라의 재정이 어려워졌습니다.                      은 평등한 조약이었다. ( ◯, × )
                  –  서원이 백성들을 가혹하게 수탈하였습니다.
                                                                     차시 예고하기
                 •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책 중에는 백성에게 고통을 준 정책
                   도 있었습니다. 어떤 것이 있나요?                            •  다음 시간에는 개화기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왕실의 위엄을 되찾기 위해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백성들을 오랫동안 공사에 동원하였습니다.                          판서하기
                 •  양반들은 왜 경복궁을 짓는 공사에 불만을 가졌나요?
                                                                    1. 흥선 대원군의 정치
                  –  경복궁을 다시 짓는 데 드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백성에게 피해를 주는 서원을 정리함.
                    양반들에게서 기부금을 강제로 걷어 갔습니다.                            양반에게도 군포를 내게 함.
                 ➋ 외세의 통상 요구와 침입 격퇴 과정 알아보기                             서양 나라의 통상 요구를 거절하고, 프랑스군과 미
                 •  프랑스, 미국이 개항을 요구하며 강화도를 침략하자 조선                     군의 침략에 맞서 싸워 물리침. → 척화비를 세움.
                   은 어떻게 대응하였나요?                                    2. 강화도 조약 체결과 개항
                  –  개항 요구를 거부하고 당당히 맞서 싸웠습니다.                          흥선 대원군이 물러난 뒤 서양의 제도를 받아들여
                 • 흥선 대원군은 왜 전국에 척화비를 세웠나요?                            개혁을 이루자는 주장이 힘을 얻음.
                                                                        일본이 군함을 보내 통상을 요구함. → 조선에 불
                  –  서양의 나라와 교류하지 않겠다는 뜻을 알리려고 하
                                                                       평등한 요소가 담긴 강화도 조약을 맺고 개항함.
                    였습니다.
                                                                                                         227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224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