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7 - ele_society_5-2_tutor
P. 227
교과서 98~99 쪽
• 미술 분야에서는 민화와 풍속화가 유행하였습니다. 민화
는 어떤 그림인가요?
판소리와 탈놀이 민화 풍속화 – 생활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그린 그림입니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생활 공간을 장식하기 위해 그려진 민화가 신윤복과 김홍도는 풍속화를 그려 당시
장터에서 판소리나 탈놀 유행하였다. 서민들은 민화에 장수, 성공 등 사람들의 생활 모습을 재미있고 현실감 있게 – 서민들의 소망을 담은 동물이나 식물을 그리거나 문 2
이 등이 유행하였다. 자신의 소망을 담았다. 표현하였다.
자로 표현한 그림입니다. 단원
판소리 한 명의 소리꾼이 북
장단에 맞추어 노래로 이야기 • 풍속화는 어떤 그림인가요?
를 엮어 나가는 극음악.
「십장생도」(국립고궁박물관)
오래도록 살고 죽지 않는다는 자연과 동식물 – 일상생활을 재미있고 현실감 있게 그렸습니다.
10가지를 표현하였다.
「평양도」(서울대박물관) 판소리는 감정 표현이 솔직하고 관객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신윤복, 「월하정인」(간송미술관) – 신윤복과 김홍도가 그린 그림이 유명합니다.
하여 양반과 서민 모두에게 인기가 많았다. 달이 비추는 밤에 두 연인이 만난 장면을
긴장감 있게 표현하였다.
양반 나오신다!
개잘량 개의 가죽. 개잘량의 ‘양’자에 ➌ 탐구해요 _ 오늘날의 모습 중 풍속화로 그리고 싶은 주
개다리소반의 ‘반’자 쓰는
개다리소반 개 다리 모양의 밥상. 양반들이 나온단 말이오.
야, 이놈 뭐야! 제 이야기하기
「호랑이와 까치」(개인 소장)
호랑이는 나쁜 일을 막고, 까치는
복을 가져다준다고 믿었다. 오늘날의 모습을 풍속화로 그린다면 어떤 주제로
그리고 싶은지 이야기해 보자.
김홍도, 「고누 놀이」(국립중앙박물관)
고누 놀이를 하는 아이들과 이를 지켜보는 예시 답안
사람들의 표정이 즐거워 보인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수업하
「문자도」(국립민속박물관) 는 모습을 그리고 싶습니다.
글자에 의미를 담아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오늘날의 모습을 풍속화로 그린다면 어
떤 주제로 그리고 싶은지 이야기해 보자.
탈놀이는 탈을 쓰고 하는 연극과 춤이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면서 ( ) 문화가 발달하였다.
주로 양반의 위선을 비판하고 풍자하여 서민들의 인기를 얻었다.
99
98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1.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99 정리
학습 내용 정리하기
• 서민 문화가 발전한 까닭과 발달 모습을 정리해 봅시다.
• 서민 문화가 발전하게 된 까닭은 무엇인가요?
– 농업 생산력이 높아지고 상업이 발달하면서 서민들 확인해요
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었습니다. •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 서당에 다니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조선 후기 서민들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되
– 한글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아졌습니다.
면서 ( 서민 ) 문화가 발달하였다.
➋ 한글 소설, 판소리와 탈놀이, 민화와 풍속화의 특징 살
차시 예고하기
펴보기
• 다음 시간에는 흥선 대원군의 정책과 조선의 개항 과정에
• 조선 후기에 발달한 서민 문화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한글 소설, 판소리, 탈놀이, 민화, 풍속화가 있습니다.
• 『홍길동전』, 『춘향전』이 널리 읽힌 까닭은 무엇인가요? 판서하기
– 당시 많은 사람이 관심을 둔 신분 문제와 사랑 이야 1. 서민 문화가 발전한 까닭
기를 다룬 한글 소설입니다. 서민의 경제력과 사회적 지위가 향상됨.
– 사람들이 가진 생각이나 감정을 잘 표현하였습니다. 서당이 널리 보급되고 한글 사용이 늘어남.
• 판소리와 탈놀이는 왜 인기가 있었나요? 2. 서민 문화의 발달
한글 소설, 판소리와 탈놀이 → 감정 표현이 솔직하
– 판소리는 감정 표현이 솔직하고 관객이 함께 참여할
고, 양반의 위선을 비판하고 풍자하여 인기가 많음.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미술에서 민화, 풍속화가 유행함.
– 탈놀이는 양반의 위선을 비판하고 풍자하였습니다.
225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