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8 - ele_society_5-2_tutor
P. 48
(라) 평가 방법 및 유의 사항
① 평가 방법
• 서술형 평가를 활용할 경우 민주화 과정에 대한 다양한 사료를 제시한 후 민주화 과
정에 대한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다.
• 토의 학습을 활용하여 평가할 때에는 토의 참여도, 주장의 논리적 정합성 등을 중심
으로 평가할 수 있다.
② 유의 사항
• 학생들이 토의 학습 과정에서 전개한 논리가 서로 다른 가치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가치 자체를 평가의 주요 요소로 삼기보다는 논리적 정합성을 중심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일상생활과 민주주의>
[6사 05- 03]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민주주의 실천 사례를 탐구하여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
요성을 파악하고,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6사 05- 04]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다수결, 대화와 타협, 소수 의견 존중 등)의 의미와 필요
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자세를 지닌다.
(가) 학습 요소
•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
(나) 성취 기준 해설
• 이 단원은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 민주적 의사 결정의 원리를 일상생활 차원에서
학습함으로써 우리 생활과 민주주의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 [6사 05- 03]에서는 학급 임원 선거나 학급 회의 등과 같이 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
는 생활 속 민주주의의 실천 사례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하고,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해 봄으로써 민주주의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능력 및 태도를
함양하도록 한다.
• [6사 05- 04]에서는 [6사 05- 03]에서 학습한 민주주의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한 이해
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결, 대화와 타협, 소수 의견 존중 등 민주적 가치나 원리를 내
면화하고, 이를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하는 자세를 함양하도록 한다.
(다)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 일상생활에서 의사 결정이 필요한 구체적인 사안(학급 규칙 제정, 자리 배정 방법, 학
급 봉사 활동 장소와 방법 등)을 선정하여 민주적 의사 결정 과정을 경험해 보게 한
다. 또는 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공동체 문제(학교 폭력 문제, 환경 오염 문제 등)
를 선정하여 문제 발생의 요인을 탐구하고, 상호 토의 및 협력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
는 경험을 하게 한다.
• 직접 경험한 일상 사례(학급 임원 선거에 적용되는 절차나 규약, 학급 회의에서의 의
46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