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5 - ele_society_6-1_tutor
P. 105
해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결과물을 산출하는 것’이라고 하여 ‘성공’한 것을 창의성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여러 공동체와 문화들 속에서 개인들이 발휘할 수 있는 창의성의 특
징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설명하였다.
• 상상력 발휘(using imagination): 일반적, 관행적, 반복적인 것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아이디어들을 상상, 생각, 창출하는 과정
• 과정 만들기(fashioning process): 아이디어를 만들고 정교화하며 관리하기 위해 적극적
으로 관심을 집중하고 자신의 기량을 발휘하는 것
• 목적 추구(pursuing purpose): 목표를 추구하면서 가능한 결과물을 산출하기 위해 상상
력을 발휘하는 것, 동기를 갖고 지속적으로 작업하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함.
• 독창적이기(being original): 성취 수준은 다를 수 있으나 그 결과가 독창적일 것. 개인
의 독창성은 그의 이전 작업보다 독창적이거나, 동료 집단 속에서 상대적으로 독창적
이거나, 역사적으로 독창적인 것 등을 포함하며, 전적으로 새로운 것을 의미함.
• 가치 판단(judging value): 사고의 가치를 평가하는 방식. 개인이나 동료로부터 비판적,
반성적 검토를 받는 것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는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제공하는 한편, 동료 간
의 상호 존중과 협력을 추구할 수 있는 학습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해 교육 전
과정을 통해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핵심 역량 6가지를 제시하였다. 이 가운데 자기 관
리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은 인성 역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역량을 목표로 인성 교육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다. 사회과에서의 창의·인성 교육
학생들의 창의력 제고 및 성품과 인격의 형성을 위해서는 정보나 지식의 단순한 기억
을 추구하는 학습과는 다른 학습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 국내외의 여러 연구자들은 창의
성이 영역별로 다른 형태로 발휘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학교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교과 교육의 원리와 창의성 개발을 연결시킬 것을
촉구한다.
사회과에서 함양해야 하는 창의·인성은 주로 사회적 문제에 대한 탐구 및 분석 과정을
통해 문제 해결을 하는 통합적·전인적 능력이다. 창의·인성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 환경
은 물론, 잠재적·실행적 교육과정의 변화가 필요하다. 사회과에서는 새로운 사회 현상에
대한 학생의 고정 관념을 반성적으로 돌아볼 수 있는 사고를 자극하는 질문과 새로운 지
식을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자료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으
로 탐구 학습 모형, 협동 학습 모형, 프로젝트 학습 모형, 역할놀이 등을 활용한다. 학생
들의 인성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 과정에서 학생 간의 상호 이해, 상호 의존, 상호 존중 및
협력을 기본 원칙으로 하는 학습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5. 사회과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지도 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