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0 - ele_society_6-1_tutor
P. 110

있는데, 대표적으로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메시지 보드, 팟캐
                              스트, 위키스, 비디오 블로그, UCC, 마이크로 블로그(트위터) 등이 있다(손에 잡히는 IT

                              시사용어, 2008. 02. 01). 이러한 소셜 미디어가 직접 참여의 기회를 확대하여 민주주의
                              발달에 긍정적인 역할도 하지만 부정적 기능도 있다.
                                독일의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하버마스는 민주주의란 참여를 통해 시민을 정치의 주
                              체로 회복시키고, 정치 과정을 공정한 것으로 이끄는 것이라고 규정하고, 공통의 관심사
                              에 관한 시민의 숙의가 가능한 사회적 공간으로 온라인 공론장에 주목하였다(위르겐 하버

                              마스, 2001). 하버마스의 공론장은 쉽게 말하자면 여론을 형성하는 장이다. 공론장은 시
                              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자신의 의사를 개진하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토론하면서 합리적 의사 결정에 이른다. 그런데 소셜 미디어 공론의 장에서 사람들은 물
                              리적인 통제나 제재를 받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

                              평적이고 탈권위적인 의사소통과 시공간을 넘는 토론이 가능하기 때문에 학자들은 참여
                              와 숙의 민주주의의 가능성을 소셜 미디어 공론장에서 찾았다.
                                한편 오늘날은 진리의 절대성이 부정되고 복수성이 힘을 발휘하는 포스트 트루스
                              (post–truth) 시대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대에 소셜 미디어의 현주소는 진실을 모호하게
                              만들고, 무분별한 정치적·사회적 선동의 장, 서로 다른 집단의 담론의 장이다. 때로 소셜

                              미디어가 인종이나 종교 갈등의 장이 되기도 하고, 가짜 뉴스를 통한 편견 확산과 사회
                              혼란 및 불안을 가중시키는 통로가 되기도 하며, 정치 선동의 장으로 부정적인 기능을 하
                              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소통을 하는 사람들의

                              민주 시민적 소양과 자질 함양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민주 시민 교육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다양한 매체를 이해하고 분석하며, 평가할 수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중요
                              해지고 있다.





                              다. 사회과에서의 민주 시민 교육
                                민주 시민 교육에서는 네트워크 사회, 전 지구화 등의 사회 변화를 고려하면서 민주 시

                              민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의 민주 질서 발달 과정에서 권력의 집중이 가져오는 결과와 그것에 저항했던 역
                              동성에 대해 역사적으로 큰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민주주의를 절대화하거
                              나 신화화하여 신봉하는 것을 경계하며, 사회 변화 속에서 민주주의가 고수해야 할 원칙
                              과 변화되어야 할 원칙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민주 시민 교육은 민주주의를 정치 이념으로서뿐만 아니라 민주적 소양
                              및 생활 태도로써 가르쳐야 한다. 이를 위해 사회과의 민주적 개념 및 지식을 다지고 민
                              주적 소통 및 비판적 사고 방법을 태도로 익힌다. 나아가 개인의 가치와 공동체의 가치가
                              조화를 이루는 방법, 개별 국가의 국민이자 세계 시민으로서의 개인의 역할, 소셜 미디어

                              시대의 정치 참여 교육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108    총론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