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2 - ele_society_6-1_tutor
P. 112
나. 다문화 교육의 방향
다문화주의의 개념과 지향은 여러 갈래이며,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을 구성하
는 방법도 여러 차원에서 논의된다. 한국의 다문화 교육 논의에서 많이 인용되는 뱅크스
(James A. Banks, 2004)의 교육과정 개발 모델을 보면 다문화 교육과정 개혁의 단계를 네
가지 수준으로 제시한다.
접근 다문화 교육 내용의 통합 방법
다양한 문화 집단의 영웅이나 인종 및 민족에 대한 특색 있는 문화적 요소
기여적 접근(제1 수준)
를 특정 명절이나 국경일 등을 전후하여 주제로 선정해 다루는 방법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에 변화를 주지 않고 다양한 문화 집단과 관련된 내
부가적 접근(제2 수준)
용, 개념, 주제, 관점을 추가하는 방법
교육과정의 구조를 바꾸어서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 집단의 관점에서 개념
변혁적 접근(제3 수준)
이나 문제, 사건, 주제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다문화적 관심사나 주제에 학생들을 참여시켜 중요한 사회적 문제에 대해
실행적 접근(제4 수준)
의사 결정을 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행동으로 옮기도록 하는 방법
제1 수준과 제2 수준은 현존하는 교육과정에 큰 변화를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문화
관련 주제를 취급하는 접근 방식을 의미한다. 이러한 수준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면 종
래와 같이 남성 지배층 중심으로 개념화된 국가 발달사(민족 발달사)의 기조를 유지하면
서 소위 그동안 소외되었던 여성, 하층 계급, 이주민과 같은 집단들의 공헌을 ‘삽입’하게
된다. 제3 수준은 학생들이 개념, 쟁점, 사건 주제를 다양한 민족 집단적·문화적 시각에
서 바라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의 구조를 변화시킬 것을 요구하고, 제4 수준은 학생들이
중요한 사회적 쟁점에 대해 판단하고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에 옮길 수 있는 단계에
도달할 수 있게 한층 근본적인 교육과정 및 교육 체제적 개혁을 요구한다. 제3 수준과 제
4 수준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간학문적 쟁점 중심 교육과정을 전제로 한다.
실제 다문화주의를 표방한 많은 미국 교과서들은 ‘기여적’, ‘부가적’ 수준에서 다문화주
의를 적용해 왔다. 한국에서도 그동안 주류에서 소외되었던 여성, 청소년 등을 특집성,
일회성으로 ‘삽입’하는 수준의 교육과정이나 교재를 다문화적 시각이 투영된 것으로 평가
하는 경향을 보인다. 진정한 다문화 교육의 실현을 위해서 교육과정에 대한 근본적인 변
화 없이 다문화 내용을 부분적으로 다루기보다 ‘변혁적’, ‘실행적’ 접근 수준에서 교육과정
을 변화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다. 사회과에서의 다문화 교육
다문화 교육은 교육학에서 하나의 전문 분야가 되고 있으며, 교과 차원에서도 다문화
교육에 관심을 확대하고 있다. 사회과 내에서는 일찍부터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 차원에
서 다문화 교육의 시각을 반영해 왔다. 그러나 다문화 교육이 단순히 국제 이주 결혼 가
정에 대한 편견을 지양하는 틀에서 머물 것이 아니라, 국내외 다양한 문화 집단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상호 협력을 추구할 수 있게 실행할 필요가 있다.
110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