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6 - ele_society_6-1_tutor
P. 116

나. 사회과에서의 경제 교육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4학년은 경제활동과 경제 교류, 6학년은 우리나라 경제
                              발전과 우리나라 경제 체제의 특징을 배운다. 경제 교육의 핵심 개념에는 희소성, 소비, 생
                              산, 현명한 선택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하여 문제를 분석하고 경제
                              문제를 해결할 때 복잡한 사회관계나 인간의 욕구를 고려할 수 있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를테면 현명한 선택은 경제 교육의 핵심 개념이다. 현명한 선택이란 사람이 원하는

                              것을 모두 가질 수 없고, 자원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선택이 필요하며, 그 선택을 현명하
                              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소비에서 선택은 비용, 만족감, 사회적 영향 등의 다양한 기준으
                              로 이루어진다. 어떻게 선택할 것인가의 문제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기회를 주

                              는 교육이 필요하다. 일상생활에서 학생이 하는 소비 행위를 인지하고, 그 행위와 연결된
                              다른 경제 행위를 연결해 생산, 유통, 소비 등 경제의 순환 구조를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이해한다. 또한 경제활동에서 주로 합리성을 강조하는데, 윤리성의 측면도 함께 생각할
                              수 있게 교육할 필요가 있다.




           10 환경 · 지속         가. 지속 가능 발전 개념의 등장

               가능 발전            1952년 런던에서 대기 오염으로 1주일간 12,000명이 사망한 스모그 사건이 발생하였
               교육             다. 1954년 미국 LA에서는 자동차 배기가스로 인한 치명적 스모그 발생으로 여러 질환이

                              나타나고 건물이 손상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 1956년 일본에서는 수은 중독으로 미나마
                              타병이 발생하여 2,256명의 환자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1950년대 누적된 공업화와 도시화로 대규모 환경 오염 사건이 발생하자
                              1960년대 여러 연구자가 환경 파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는 논저를 발표하였다. 대표적
                              으로 레이첼 카슨이 출간한 『침묵의 봄』이란 책은 과학 기술이 초래한 환경 오염을 경고

                              하였다. 이 책이 촉발한 환경 오염 논쟁으로 환경주의가 등장하였고, 전 세계의 지구 환
                              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최석진·최경희·김동근·김이성, 2014).
                                1972년에 발표된 로마 클럽의 ‘성장의 한계’ 보고서는 ‘환경 보호’와 ‘지속적인 경제 성
                              장’이 양립할 수 있는가 하는 논쟁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 보고서에서 인구 폭발

                              과 경제 성장이 지속된다면 100년 안에 지구의 자원, 식량, 환경은 파괴적인 사태에 직면
                              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이 보고서가 발표된 후 논쟁이 확산되었다. 같은 해 스톡홀름에서
                              개최된 유엔 인간 환경 회의에서 바바라 워드는 환경적인 제약을 고려하지 않은 경제 개발
                              은 지속 불가능하다고 하면서 ‘지속 가능’이란 표현을 사용하였다(지속 가능한 포털).
                                이후 1987년 세계 환경 개발 위원회가 “미래 세대의 욕구를 제약하지 않으면서도 현세

                              대의 욕구를 만족시키는 개발”이라는 지속 가능 발전 패러다임을 제시하면서 이 용어를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국제 사회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여러 대책
                              을 마련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지속 가능한 포털).

                                2000년 9월 전 세계 187개국 정상들이 UN에서 극심한 빈곤과 기아 퇴치 및 환경 지속
                              가능성 보장 등 8가지 새천년 개발 목표를 설정해 2015년까지 국제 사회가 공동으로 힘


           114    총론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