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4 - ele_society_6-1_tutor
P. 114

다. 사회과에서의 통일 교육

                                사회과에서는 1945년 이후 분단의 배경과 통일을 위한 노력을 가르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북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내용 요소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통일 문제에 대해 직접적
                              으로 생각하고 토론해 볼 수 있는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사회과의 통일 논의 대부분은
                              추상적이고 거대 담론 위주의 통일 논리를 당위적인 과제로 수용하도록 하는 경향이 있
                              다. 이러한 추상적인 논의는 오히려 통일에 대한 부정적이고 회의적인 시각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통일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최근 남북한의 긴장과 화해 분위기가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나타나고 있다. 국내의
                              북한에 대한 인식, 남북통일에 대한 인식이 매우 다양하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통일

                              문제에 대해 학생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일방적으로 통일의 필
                              요성을 강조하기보다는 통일의 필요성, 통일 비용과 편익, 통일의 방법, 통일 후 국가의
                              미래 등에 대해 여러 측면에서 토론해 보게 함으로써 학생이 통일과 관련된 쟁점을 이해
                              하게 해야 한다.




            8   독도            가. 독도 교육의 개념

               교육               독도 교육은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학교 현장의 대응으로서 등장하였다. 교육
                              부는 일본 정부의 독도 영유권 주장 및 역사 왜곡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전국 시·도 교

                              육청 및 유관 기관과 독도 교육을 실천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독도 교육이
                              교과와 창의적 체험 활동 등 교육 활동 전반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2020년 2월에는 일본이 초·중 신(新)학습지도요령에 독도를 ‘일본 고유의 영토‘라고 명
                              기하고, 독도가 ’일본의 고유 영토‘이며 한국이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내용이 포함된 교과
                              서를 검정 합격시켰다. 이러한 도발에 대응하고자 2020년에도 교육부는 영토 주권 수호

                              의지를 강화하기 위해 독도 교육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독도 교육은 기본적으로는 영토 교육이지만, 독도의 자연환경·생태·역사, 독도와 관련
                              된 국제법 등 다양한 분야의 독도 관련 개념 및 지식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한편, 독도
                              관련 여러 자료들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 교육이기도 하다.



                              나. 학교에서의 독도 교육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유치원, 초·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지리, 역사, 기술·가정
                              교과에 독도 교육 내용을 확대하는 등 독도 교육을 강화하였다. 특히 다양한 자료를 비판
                              적으로 분석하여 독도가 대한민국의 고유 영토이며 결코 분쟁 지역이 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도록 하였다. 학교 교육은 일본의 부당한 주장에 대해 학생이 자료에 근거하여
                              논리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학생들은 유치원에서부터 고등학교까지 여러 교과에서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반복적으

                              로 학습한다. 이러한 반복에 따른 부작용도 있다. 일본 정부와 일본 시민 사회를 구분하
                              지 않고, 또 일본 내에 서로 다른 목소리가 존재함을 인식하지 않고 일본을 마치 하나의


           112    총론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