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3 - ele_society_6-1_tutor
P. 113

초등 사회에서 주로 국가사를 정치사와 문화재를 중심으로 국난 극복과 위대한 민족 문
                                    화를 가르치도록 하기 때문에 다문화적 시각의 다른 영역과 충돌하는 경향도 보인다. 그

                                    러므로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민족 내에 지배 엘리트 이외에 피지배
                                    층, 여성, 그리고 외래인 등 다양한 역사적 주체들의 역사적 참여에 대해 생각해 볼 기회
                                    를 주어야 한다.




                  7   통일            가. 통일 교육의 개념
                     교육              1945년 한국은 일본의 식민 지배로부터 해방됨과 동시에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고,

                                    6 · 25 전쟁 이후 분단은 고착 상태에 빠졌다. 이후 여러 정권에서 통일을 위한 노력을 계

                                    속해 왔다. 그런데 분단이 길어질수록 남과 북의 정치·경제·사회·문화면에서의 차이는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통일 필요론에서 통일 불필요론, 그리고 그 사이에 흡수 통일 방
                                    법에서 연방제 방식의 통일 방법까지 다양한 통일 논의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점을 염
                                    두에 두고 학교에서 통일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통일 교육이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교 통일 교육, 사회를 대상으로 한 사회 통일 교

                                    육, 통일 대비 교육 정책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통일부 통일 교육원에서는 『통일 교육
                                    지침서(2008)』를 발간하여 안내하고 있다.
                                     통일 교육 지원법 제2조에 의하면 학교 통일 교육은 “자유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민
                                    족 공동체 의식 및 건전한 안보관을 바탕으로 통일을 이룩하는 데 필요한 가치관과 태도

                                    를 기르도록 하기 위한 교육”을 말한다(통일 교육원, 2008: 7).


                                    나. 통일 교육의 주안점
                                     통일 교육은 통일과 통일 이후 시대를 주도할 학생들에게 통일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

                                    게 하고 관련된 쟁점에 대해 여러 측면의 자료를 검토하여 합리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
                                    며, 평화와 통일을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와 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일
                                    교육의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통일 교육원, 2008).



                                     가. 통일 문제에 대한 관심 제고 및 통일 의지 확립
                                     나. 자유 민주주의 가치에 대한 확신 및 민주 시민 의식 함양
                                     다. 민족 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
                                     라. 국가 안보의 중요성 인식
                                     마. 북한 실상에 대한 올바른 이해

                                     바. 통일 대비 역량 강화


                                     통일 교육은 정부의 통일 정책이나 전략에 따라 통일 교육의 방향이 흔들리지 않도록,

                                    학생이 통일 관련 쟁점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측면에서 생각해 볼 수 있게 하
                                    여 이 문제에 대한 자신의 시각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5. 사회과에서의 범교과 학습 주제의 지도  111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