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8 - ele_society_6-1_tutor
P. 108
카렐 바사크의 1세대 인권과 관련된다. 한편 공동체주의적 인권 개념은 개인의 자유보다
는 공동체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개인은 사회 공동체 속에 속해 있는 존재로서
공동체와 별개로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고 하면서도 특정한 상황에서는 개인의 자유
와 자율적 판단을 보장하는 것이 최선이 될 수 없다고 본다.
나. 초등 인권 교육의 내용
인권 교육의 핵심은 타인의 인권을 존중하는 태도와 함께 현실에 존재하는 다양한 억압
으로부터 자신을 스스로 해방시킬 수 있는 힘을 길러 자신이 삶의 주체가 되도록 하는 것
이다(이종태, 2005). 인권 교육은 인권 친화적인 환경에서 이뤄져야 하며, 학습자가 생활
하는 구체적인 삶의 영역에서 이뤄져야 한다.
국가 인권 위원회가 제작한 『학교 인권 교육 길라잡이: 유엔의 초중등학교 인권 학습 활
동 안내서(2006: 26)』는 학교에서 인권 교육의 핵심 내용은 세계 인권 선언과 아동의 권
리에 관한 협약이라고 선언하고, 인권 개념과 친해지기 위한 단계적 접근을 다음 표로 제
시하였다.
<인권 개념과 친해지기–단계적 접근법>
세부적 인권 기준,
단계 목표 주요 개념 실행
인권 문제 제도 및 기제
• 자아 존중 • 자아 • 의무 • 인종 차별 • 학급 규칙
• 부모와 교사 • 공동체 • 공정성 • 성차별 • 가정생활
존중 • 개인 책임 • 자아 표현 / • 불공정성 • 공동체 규범
• 타인 존중 경청 • (감정적, 신체 • 세계 인권
• 협력 / 분담 적으로) 타인 선언
취학 전 아동과
• 소집단 활동 에게 피해를 • 아동 권리
초등학교
• 개별 활동 주는 것 협약
저학년생
• 원인 / 결과
(만 3세~7세)
의 이해
• 민주주의
• 타인의 입장
이해
• 갈등 해결
• 사회적 책임 • 개인의 권리 • 다양성의 가 • 차별/편견 • 인권의 역사
• 시민 의식 • 집단 권리 치 인정 • 빈곤/기아 • 지방, 국가의
• 원하는 것을 • 자유 • 공정성 • 불법(부당함) 법체계
필요한 것, 권 • 평등 • 사실과 의견 • 민족 중심주의 • 지방, 국가의
초등학교
리와 구분하 • 정의 구분 • 자기중심주의 인권 관련 역
고학년생
기 • 법치주의 • 학교 또는 공 • 수동성 사
(만 8세~11세)
• 정부 동체에 대한 • UNESCO,
• 안보 책임 UNICEF
• 시민으로서 • 비정부 기구
의 책임 (NGO)
106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