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9 - ele_society_6-1_tutor
P. 239
수업 참고 자료
말한다. 시장 경제에서 가계가 수행하는 중요한 역할은
1~2 차시
소비 활동이다. 소비란 자신이 원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2
경제활동
구입하는 행위이다.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이 있다.’는 말 단원
경제활동이란 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얻기 처럼 가계의 소비는 기업이 무엇을 얼마만큼 생산할 것인
위해 생산하고, 분배하고, 소비하는 활동을 말한다. 세 가를 결정하도록 해 준다. 또한 가계는 다른 경제 주체인
상에 존재하는 자원은 우리에게 필요한 형태로 존재하 기업과 정부에 노동력을 제공하면서 생산 활동에 참여하
지 않으므로 필요한 형태로 변환해야 한다. 풀이 음식이 고 있다.
되기 위해서, 바닷속 물고기가 식탁 위에 오르기 위해 기업은 천연자원, 노동, 자본 등의 생산 요소를 투입하
서, 누에고치가 실이 되고 옷감이 되기 위해서는 노동 등 여 각종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는 경제 주체이다. 즉, 기
인간의 노력이 더해져야 한다. 노력이 더해지면서 필요 업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각
한 형태에 가까워질수록 그 재화의 가치가 높아지는데. 종 상품을 만들어 공급하는 일이다. 기업은 시장에서 잘
이렇게 재화와 서비스를 새롭게 만들거나 가치를 높이 팔리는 물건을 만들어야 생존하고 발전할 수 있으므로 값
는 모든 활동을 생산이라고 한다. 생산 활동에 참여하여 싸고 질 좋은 상품을 만들기 위해 항상 노력하며, 이러한
가치를 높인 만큼 대가를 받는 것은 분배라고 한다. 소 기업 활동은 자연스럽게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인다. 또한
비는 필요에 따라 재화와 서비스를 구입하거나 사용하 기업은 생산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근로자를 고용함으로
는 활동이다. 소비는 생산의 밑바탕이 되며, 생산은 분 써 일자리를 만들어 낸다.
배로 이어지고, 분배는 소비의 기반이 된다. 이렇게 생 - 한국은행, 『한국은행의 알기 쉬운 경제 이야기』, 2020, 49~50쪽 -
산·분배·소비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순환하고 있다.
- KDI 경제정보센터(eiec.kdi.re.kr) -
시장
경제학에서의 생산과 소비 경제학에서는 시장을 사고파는 거래가 이루어지는 곳
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에서 시장이라는 용어는 거래 장소
일상생활에서 생산은 쓸모 있는 재화를 만들어 내는
나 상품 그리고 참여하는 개인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생
것이지만 경제학에서 생산은 시장 안에서 재화나 서비
산과 소비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체적인 시스템을 말
스의 가치를 높이거나 유지하는 것까지 포함한다. 즉,
한다. 거래의 규모는 상관이 없다. 두 사람 사이의 거래도
시장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는 과정의 유통, 보관, 판매
시장이고, 많은 사람이 모여 큰 규모의 거래가 이루어지
활동도 생산으로 본다.
는 곳도 시장이다. 자신이 아끼던 운동화를 인터넷 사이
일상생활에서 소비는 단순히 물건을 구입하는 것이지
트에 올려 판매하는 것도 시장이고, 몇 억 달러 규모의 원
만 경제학에서 소비는 어떤 재화나 서비스를 일정한 대
유를 거래하는 시카고 선물 시장도 시장이다.
가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같은 재화를 사더
하나의 경제 체제 내에서 시장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
라도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따라 생산 활동이 될 수도 있
할 수 있다. 하나는 햄버거, 자동차, 집과 같은 상품이나
고 소비 활동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일
교육, 의료, 여행과 같은 서비스를 사고파는 상품 시장이
기를 쓰려고 볼펜을 산다면 소비 활동이지만, 소설가가
다. 다른 하나는 회사나 사용자가 노동자를 고용하는 노
소설을 쓰려고 볼펜을 산다면 생산 활동이다.
동 시장이다. 이러한 노동 시장은 상품 시장과 마찬가지
- 최진기, 『최진기의 경제 상식 오늘부터 1일』, 스마트북스, 2018,
43~46쪽 - 로 실물 시장이다. 마지막 하나는 회사나 개인이 보유한
돈을 은행이나 금융 기관을 통하여 대여해 주거나 투자하
경제 주체별 역할 분담
는 자본 시장 또는 금융 시장이다.
가계는 자율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가구 또는 개인을 - 김철환, 『십 대를 위한 경제 사전』, 다림, 2019, 96~97쪽 -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