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ele_society_6-1_tutor
P. 72
[수행 평가]
과정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과서 탐구의 보충 활동지나 교과서 학습 내용과 관련
된 추가 활동지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활동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 평가 기준표 >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 연표 만들기 반 번 평가 기준 우수 보통 미흡
1.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연계 단원 1-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학습 목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연표로 그릴 수 있다. 이름
2.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연표로 잘 나타냈는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연표로 그려 보세요. 활동 예시
2번 활동
활동 방법
1 8절지, 공책, 자, 네임펜, 색연필, 사인펜 등을 준비합니다.
3·15 부정 선거(1960), 4·19 혁명(1960), 5·16 군사 정변(1961), 5·18 민주화 운동(1980), 6월 민주 항쟁(1987),
2 연표를 만들기 전에, 교과서를 보며 연표에 들어갈 내용을 공책에 정리합니다. 6·29 민주화 선언(1987), 지방 자치제 실시(1995) 등
예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
3 공책에 정리한 내용을 발표합니다. 다른 친구들의 발표를 듣고 부족한 내용이 있으면 공책에 4 ~ 5번 활동
추가하여 정리합니다.
4 8절지에 연표를 그리고, 공책에 정리한 내용을 참고하여 연표 위에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
과정 중 일어난 주요 사건들을 나타냅니다. 6학년 ◯◯반 ◯◯◯
예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
6학년 ◯◯반 ◯◯◯
유신 헌법 5·18 6월
4·19 혁명 공포 민주화 운동 민주 항쟁
이승만 정부의 끊임없는
헌법 개정을 통한 유신 반대 투쟁 민주화 요구 시민 단체의 인터넷 대중화로
장기 집권 활성화 시민 참여의 확대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1950 1960 1970 1980 1990 2000
5·16 군사 정변 전두환을 지방 자치제
중심으로 실시
군인들의 정변
5 연표에 들어간 내용을 잘 보여 줄 수 있는 그림을 추가합니다.
< 평가 기준표 >
6 완성된 연표 하단에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통해 느낀 점을 적습니다. 평가 기준 우수 보통 미흡
6번 활동 다수결 원칙의 좋은 점과 주의할 점 알기 반 번
연계 단원 1-2 일상생활과 민주주의 1. 다수결 원칙의 의미와 좋은 점을 설명할 수 있는가?
활동 시 유의점 학습 목표 다수결 원칙의 의미와 좋은 점, 주의할 점을 알 수 있다. 이름 2.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주의할 점을 알고 있는가?
학생들과 시민들의 끊임없는 노력으로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발전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우리나
학생들이 교과서에 연도가 표시되지 않은 사건을 연표에 나타내고자 할 경우, 인터넷을 활용하여 연도
라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사회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극적으로 참여해야겠습니다.
를 찾아서 활동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인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는 모습입니다. 물음에 답해 보세요.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인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는 모습입니다. 물음에 답해 보세요.
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한 시민들의 노력이 중심이 되도록 연표를 구성하게 한다.
이번 여행은 산으로 가는 건 전 바다가 이번 여행은 산으로 가는 건 전 바다가
322 부록 바다로 가자. 어때 ? 좋아요. 저도 수행 평가 323 바다로 가자. 어때 ? 좋아요. 저도
바다요. 바다요.
1 다수결의 원칙이란 무엇인지 써 보세요. 1 다수결의 원칙이란 무엇인지 써 보세요.
다수의 의견이 소수의 의견보다 합리적이라고 가정하고 다수의 의견을 채택하는 의사 결정 방법입니다.
2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면 어떤 점이 좋은지 써 보세요. 2 다수결의 원칙을 따르면 어떤 점이 좋은지 써 보세요.
쉽고 빠르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3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써 보세요. 3 다수결의 원칙을 따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 써 보세요.
•다수의 의견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므로 소수의 의견을 존중해야 합니다.
•다수결의 원칙으로 결정하기 전에 충분한 대화와 토론의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대화와 토론, 양보와 타협으로 합의에 이를 수 없을 때 마지막 수단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328 부록 수행 평가 329
70 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