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9 - ele_society_6-1_tutor
P. 69

나. 각론

                                     각론은 교과서와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교사가 활용하기 편리하게 구성하였다. 학습 내
                                    용에 대한 지도 방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으며, 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교실 수업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참고 자료를 풍부하게 수록하였다.

                                    [단원 도입(대단원 도입)]

                                     대단원 개관, 성취 기준 및 학습 목표, 대단원 지도 계획, 대단원 평가 계획 및 평가 기
                                    준, 전자저작물 수록 자료를 제시하였다. 단원 도입에서는 단원을 가르치는 이유와 단원
                                    에서 중요한 내용을 제시하여 단원 전체를 포괄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1  대단원 개관  이 단원은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살펴보며 시민의 정치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민주주의의 의미와 원리를 파악하며,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를 실현하는 국가 기관  단원 1
                                                                 의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자세를 기르고자 설정되었다.
                                                                 첫 번째 중단원에서는 우리나라의 민주주의가 발전해 온 역사적 과정과 시민의 정치 참여 과
                                                                 정을 탐구하고 정치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두 번째 중단원에서는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 사례를 살펴보며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하고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를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자세를 기르도록 구성하였다.
                                                                    3
                                                                 세 번째 중단원에서는 민주주의의 기본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국회, 행정부, 법
                                                                   대단원 지도 계획
                                                                 원 등 주요 국가 기관의 역할을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2  성취 기준 및 학습 목표  구분  주요 내용  차시
                                               사람들이 함께 살아가다 보면 여러 가지 갈등이 생길 수 있다.    참일까? 거짓일까?  차시별 학습  교과서   지도서
                                               이러한 갈등을 원만하게 해결해 가는 과정이 바로 정치이다.   다음 그림 속 대화에서 참인 것과 거짓인 것  중단원  성취 기준  대단원 도입 성취 기준 해설  학습 목표  쪽수
                                                   을 찾아 번호를 써 보자.
                                                                     대단원 학습 내용 예상하기
                                                                                   쪽수
                                                                          도입 활동을 통해 단원 내용 유추하기
                                                                     중단원 학습 내용 예상하기 •   지식  4 ·
                                                                   중단원 도입
                                                               [6사05-01] 4 · 19 혁명,  [6사05-01] 우리나라 민주화의 역사  1~2 19 혁명, 5 · 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  8~11  122~129  핵심 역량  평가 내용  1
                                                               5 · 18 민주화 운동, 6월  를 통해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기 위한   쟁의 과정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력
                                                                          생각이 활짝
                                                               민주 항쟁 등을 통해 민  시민의 노력을 파악함으로써 민주 시민 •   지식  광복 이후 시민들의 정치 참여 활동이 확대  12~13  130~131  평가 방법  단원
                                                               주주의가 발전해 온 과  으로서 비판 의식을 함양하도록 한다.   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력  도입 활동을 통해 배울 단원의 내용을 유추할 수 있다.
                                                                          4 · 19 혁명과 시민들의 노력 알아보기
                                                       6                         14~17  132~135         구술 평가, 관찰 평가
                                               1      과거에는 우리나라에서   민주주의  정을 파악한다.  [6사05-02] 광복 이후 시민들의 정 •   기능  4 3~4 · 19 혁명, 5 · 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
                                              국민의 손으로 국회 의원을   5    독재가 행해지기도 했지만
                                                                          5 · 18 민주화 운동의 과정과 의미 알아보기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
                                              직접 뽑을 수 있어.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으로 다양한 의견을  3  국회에서 법을 만들거나  우리 국회 의원들은  고쳐.  시민들의 노력으로 민주화가  이루어졌어.  의 발전과  [6사05-02] 광복 이후  치 참여 활동의 모습을 살펴보고 앞  쟁의 의의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18~23  비판적 사고력  사례를 보고 단원의 학습 내용을 예상할 수 있다.  구술 평가, 자기 평가
                                                 낼 수 있게 되었어.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  민주주의의   전 과정을 알고 시민의 정 •   가치· 태도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 모습을 바탕  136~141
                                                              시민 참여  이 확대되는 과정을 중심  발전과  노력하려는 태도를 함양하도록 한다.  으로 앞으로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려고 노력  비판적 사고력  4 · 19 혁명의 원인 · 과정 ·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으로 우리 사회를 발전시키기 위해
                                                                         5~6
                                                                          6월 민주 항쟁에서 국민들의 민주화 노력 알아
                                                                          보기
                                                    4
                                      우리나라의    항상 옳기 때문에 소수는  다수의 의견은  무조건 따라야만 해. 2  민주주의 사회에서는 더 많은 권리를 갖지. 나처럼 힘 센 사람이  참인 것  거짓인 것  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의  시민 참여 [6사 05-03] 학급 임원 선거나 학급  •   지식  생활 속 사례를 통해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  29~33 24~28  142~145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6월 민주 항쟁의 원인 · 과정 · 결과를 설명하고 4 · 19 혁명, 5 · 18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치 참여 활동이 확대되는
                                                                         하는 태도를 지닌다.
                                                                     과정 이해하기
                                                                                              5 · 18 민주화 운동의 원인 · 과정 · 결과를 설명할 수 있다.
                                                               발전상을 살펴본다.
                                                                         7~8
                                                               [6사 05-03] 일상생활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 알아보기
                                      정치 발전                    에서 경험하는 민주주의  회의 등과 같이 학생들이 쉽게 접할   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34~35  146~149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의 의의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서술형 평가, 동료 평가
                                                                          뚝딱뚝딱 정리하기
                                                               실천 사례를 탐구하여  수 있는 생활 속 민주주의의 실천 사 •   지식
                                                                         9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중단원 도입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
                                                                    중단원 학습 내용 예상하기
                                                                                              6월 민주 항쟁 이후 민주화 과정을 설명하고, 앞으로 우리 사회
                                                                                   150
                                                                   례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 •   기능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에 따라 공동체의 문
                                                                          생각이 활짝
                                                               성을 파악하고, 생활 속  요성을 파악하고, 의사 결정 과정에   10~11 제를 해결할 수 있다.   36~37  156~157  정보 활용 능력  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서술형 평가, 자기 평가
                                                               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  참여해 봄으로써 민주주의를 생활 속 •   가치· 태도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려는   정리 활동을 통해 주요 개념 등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민주주의에 대해 알아보기
                                                               는 태도를 기른다.  에서 실천하는 능력 및 태도를 함양  태도를 지닌다.  38~41  창의적 사고력
                                                              일상생활  [6사 05-04] 민주적 의  하도록 한다.  12  158~161  사례를 보고 단원의 학습 내용을 예상할 수 있다.  자기 평가, 동료 평가
                                                              과   사  결정  원리(다수결,  [6사 05-04] [6사 05-03]에서 학습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바람직한 태도 알아보기  비판적 사고력  구술 평가, 자기 평가
                                      자료는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과 민주주의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을 보여 준다.   민주주의  대화와 타협, 소수 의견  한 민주주의의 의미와 필요성에   42~44  162~163  비판적 사고력, 정보 활용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 생활과 민주주의의  대
                                                                  일상생활과
                                      의견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면서 단원에서 배울 내용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존중 등)의 의미와 필요  민주주의 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다수결, 대  13~14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 알아보기  능력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관련성을 탐색하기
                                      예시 답안   참 :  1 ,  3 ,  5 ,  6    거짓 :  2 ,  4  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  화와 타협, 소수 의견 존중 등 민주적   45~49  164~167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바람직한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
                                                               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  가치나 원리를 내면화하고, 이를 일  비판적 사고력, 정보 활용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는 자세를 지닌다.  상생활에 적용하여 실천하는 자세를   15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민주적으로 해  능력
                                                                   함양하도록 한다.  결하는 방법 살펴보기   50~51  168~169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의 의미와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뚝딱뚝딱 정리하기
                                                               [6사 05-05] 민주 정치 중단원 도입 [6사 05-05]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 •   16 지식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문
                                                               의 기본 원리(국민 주권,  (국민 주권, 권력 분립 등)가 적용된  •   지식  국회, 정부, 법원에서 하는 일을 설명할 수   52~53  170  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
                                                                    중단원 학습 내용 예상하기
                                                               권력 분립 등)를 이해하  사례를 탐구함으로써 이것이 민주주  있다.  생각이 활짝  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에 따라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자기 평가, 동료 평가
                                                                        17~18  국가의 일을 나누어 맡아야 하는 까닭을 설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일상생활과 민주주의     민주 정치의 원리와 국가 기관의   민주 정치  고, 그것이 적용된 다양  의 이념 실현을 위해 필요한 핵심 원 •   지식 명할 수 있다.   54~55  176~177  정보 활용 능력  정리 활동을 통해 주요 개념 등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리임을 인식하도록 한다.
                                                               한 사례를 탐구한다.
                                                                         국민 주권에 대해 알아보기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을   우리 생활과 민주주의의 관련성  역할  의 원리와  [6사 05-06] 국회, 행정  [6사 05-06] 주요 국가 기관인 국회,  •   기능  생활 속에서 민주 정치의 원리가 적용된 사  56~59  178~181  창의적 사고력  사례를 보고 단원의 학습 내용을 예상할 수 있다.   자기 평가, 동료 평가
                                                                         례를 찾을 수 있다.
                                      알고 시민들의 정치 참여 활동이   을 탐색하고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민주 정치의 원리를 바탕으로 국  국가 기관  부, 법원의 기능을 이해  행정부, 법원의 역할을 탐색함으로써   19 •   기능  국회, 정부, 법원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  능력 비판적 사고력, 정보 활용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인 국민 주권의 뜻과 중요성을 설명할 수   구술 평가, 자기 평가
                                                                   이러한 국가 기관을 통해 민주주의가
                                                               하고, 그것이 국민 생활
                                                              의 역할
                                      확대되는 과정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해하도록 한다.  가 기관의 역할을 탐구하도록 한다.   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국민 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  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탐구할 수 있다.  60~63  182~185  있다.
                                                                         국회에서 하는 일 살펴보기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민주 정치의  음을 인식하도록 한다.  •   가치· 태도  민주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민주 정치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를
                                                                  원리와   20 의 원리를 실천하는 태도를 지닌다.   비판적 사고력, 정보 활용  국회가 하는 일을 알고 국회의 활동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
                                                                    바탕으로 국가 기관의 역    정부에서 하는 일 살펴보기  능력
                                                                  국가 기관의   할 탐구하기  64~67  186~189  을 설명할 수 있다.
                                                                  역할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23
                                      122  각론                           21  법원에서 하는 일 살펴보기  68~71  190~193  능력 비판적 사고력, 정보 활용  정부가 하는 일을 알고 정부의 활동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
                                                                                             을 설명할 수 있다.
                                                                                                      구술 평가, 서술형 평가
                                                                        22               능력 비판적 사고력, 정보 활용  법원이 하는 일을 알고 법원의 활동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
                                                                         권력 분립에 대해 알아보기
                                                                                72~75  194~197  을 설명할 수 있다.
                                                                        23                            서술형 평가, 구술 평가
                                                                 대단원 마무리  단원 학습 내용 정리하기  뚝딱뚝딱 정리하기  76~77  198  협업 능력  있다.
                                                                                         비판적 사고력, 의사소통 및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인 권력 분립의 뜻과 중요성을 설명할 수
                                                                        24
                                                                 창의 · 융합  사고력 향상하기  딩동댕 단원 마무리  78~79  204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서술형 평가, 포트폴리오
                                                                        25  창의 · 융합 놀이터      정리 활동을 통해 주요 개념 등 공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비판적 사고력
                                                                                80~81  205            자기 평가, 동료 평가
                                                                 124  각론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  공부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필 평가, 서술형 평가
                                                                                             기초 능력을 바탕으로 융 · 복합적 사고력과 창의력을 기를 수 있다.
                                                                                                      포트폴리오, 동료 평가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25
                                    [생각이 활짝(중단원 도입)]
                                     교과서 ‘생각이 활짝’ 도입 자료를 소개하고 제시된 질문에 대한 예시 답안을 제시하였
                                    다. 또한 차시별 수업에 앞서 중단원의 전체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중단원 개관, 목표,
                                    내용 구조화,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참고 자료 및 누리집 등을 제시하였다.
                                                                             1  중단원 개관   4  중단원 주요 개념 및 용어 해설
                                                                   교과서  12~13   쪽
                                                                            이 단원은 민주화의 역사를 살펴보며 우리나라의 민주  민주화  단원 1
                                                      민주주의의 발전과  할아버지 기분이  투표소에 오신  좋아 보여요.  대통령을 뽑을 수 있게 된 때가   주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시민의 참여로 민주주의가   정치·경제·문화 등 사회의 전반에서 자유, 평등과 같
                                                                   그래 ? 옛날에는
                                                                   대통령을 국민의 뜻대로
                                                                   뽑지 못한 시절도 있었단다.
                                                                   투표소에 오니 내 손으로
                                                      시민 참여        떠올라 감격스럽구나.  발전할 수 있다는 사실을 파악함으로써 민주 사회 건설을   은 민주주의 원리들이 널리 적용되고 확대되는 과정을 의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함양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미한다.
                                                                            1~2차시에서는 4·19 혁명의 배경과 전개 과정, 의미  시위
                                                       우리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습니다.  대통령을 계속  이런 식으로 뽑게   드디어 내 손으로   를 파악하도록 한다. 3~4차시에서는 5·18 민주화 운동
                                                        민주주의가 발전하는 데 시민의 참여가 중요함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둘 순 없어.  대통령을 뽑는군.  다수의 사람들이 공개적으로 의사를 표현하여 정부에
                                                                 몇 년 후
                                                                            의 과정과 의미를 살펴보도록 한다. 5~6차시에서는 6월
                                                                                     영향력을 행사하려고 하거나 많은 사람에게 알리는 행위
                                                      대통령 선거일에 하연이는 할아버지를 따라 투표소에 왔습니다.  민주 항쟁에서 국민들의 민주화 노력을 살펴보고, 우리  를 말한다. 시위는 사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고 공
                                                                            나라의 민주주의 발전 과정을 통해 알게 된 점 등을 토의
                                                                  그럼. 우리나라의          적 이익을 추구하는 경우도 있다.
                                                         행정 복지 센터  민주주의가 발전하면서  해 보도록 한다. 7~8차시에서는 6월 민주 항쟁 이후 우
                                                              대통령을 국민의 뜻대로   대통령 선거 제도가   참여
                                                              뽑지 못한 시절도   지금처럼 바뀌었단다.
                                                      우아, 투표소에   있었어요 ?     리나라의 민주화 과정을 통해 시민의 정치 참여가 더욱
                                                      사람이 많네요.                        의사 결정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목적으로 이
                                                           제1투표소 ○○동        확대되고 있음을 알아보도록 한다.
                                                                                     루어지는 활동을 의미한다. 특히,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
                                                         투표소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 시민의 활동을 가리
                                                                                     키는 경우가 많다.
                                                               대통령을 국민의 뜻대로 뽑게 되기까지 시민들은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2  중단원 목표   5  참고 자료 및 누리집
                                                    12                                 김해원, 『5월의 달리기』, 푸른숲주니어, 2013.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2
                                                                   1. 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13 13
                                                                              •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의 과
                                                                                     -  전라남도 대표 달리기 선수로 뽑힌 한 열세 살 어린
                                                                              정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지식
                                                                              • 광복 이후 시민들의 정치 참여 활동이 확대되는   이가  5·18  민주화  운동을  맞닥뜨리게  되는  내용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이다.
                                                    도입 자료 소개           대통령을 국민의 뜻대로 뽑게 되기까지 시민  기능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의 의의    카툰박스, 『who? special 박종철, 이한열』, 다산어린이,
                                                               들은 어떤 노력을 했을까요?  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2019.
                                                    민주주의 국가의 주인은 국민입니다. 하지만 모든 국  예시 답안  가치·태도  시민의 정치 참여 모습을 바탕으로 앞으로 우리   -  박종철과 이한열의 이야기를 통해 6월 민주 항쟁의
                                                    민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  사회를 발전시키려고 노력하는 태도를 지닌다.
                                                                많은 시민들이 큰 광장에 모여서 국민의 뜻대로 대통  흐름을 살펴볼 수 있다.
                                                    문에 많은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국민이 대표를 선출하여
                                                              령을 뽑을 수 있게 법을 바꾸자고 정부에 요구하는 집    오픈아카이브(archives.kdemo.or.kr)
                                                    그 대표가 나라의 일을 대신 처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회를 벌였을 것 같습니다.  -  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에 관
                                                    그러나 선거로 대표를 뽑는 국가에서 다수 국민의 뜻
                                                                 국민의 뜻대로 선출되지 않은 대통령은 자리에서 물러  한 다양한 사진과 사료를 찾아볼 수 있다.
                                                    대로 대표를 선출할 수 없다면, 그리고 다수 국민이 원할   나라고 요구하는 서명 운동을 벌였을 것 같습니다.   3  중단원 내용의 구조화    국립 4·19민주묘지(mpva.go.kr/419/index.do)
                                                    때 대표를 평화적으로 바꿀 수 없다면 그것은 민주주의     우리나라의 대통령 선거가 민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  -  4·19 혁명이 일어나게 된 배경, 사건 전개 과정, 역
                                                    국가라고 할 수 없습니다.  고 있음을 세계에 알려서 정부가 전 세계의 감시 속에   4·19 혁명,   사적 의의 등을 살펴볼 수 있다.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대통령 선거가 다수 국민의 의사  대통령 선거 제도를 바꾸도록 했을 것 같습니다.  5·18 민주화 운동,  다양한     5·18기념재단(518.org)
                                                    가 반영되지 않고 이루어진 적이 있었습니다. 제시된 그  민주주의의    6월 민주 항쟁의 원인,   정치 참여   -   5·18 민주화 운동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교육 자료
                                                                               과정, 결과와 의의
                                                    림을 통해 우리나라에서도 민주주의가 발전하지 않았던   발전과   알아보기  방법으로   를 찾아볼 수 있다.
                                                                            시민 참여  공동의 문제
                                                    시절이 있었음을 알게 하고, 우리나라의 대통령 선거가   해결하기    6·10민주항쟁(610.or.kr)
                                                    어떤 변화를 거쳤는지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시민들의 정치 참여 방법   -  6월 민주 항쟁에 대한 상세한 이야기와 교육 자료를
                                                                               탐색하기
                                                                                      찾아볼 수 있다.
                                                    130  각론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131
                                                                                    2. 사회과 교과용 도서의 구성 및 활용  67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