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5 - ele_society_6-2_tutor
P. 205

중국식 구들 침대, 캉: 2,500년 전부터 사용되었던 중                  러시아의 전통 집, 이즈바                                1
                  국의 전통 바닥 난방 방식이다. 수나라와 당나라 때 북                    이즈바는  러시아  농민들이  생활하던  통나무집으로,
                                                                                                                   단원
                  동 지방에 살던 고구려 사람들이 전해 준 구들 문화가                   보온 효과가 높아 더운 여름에는 시원하고 추운 겨울에
                  변형되었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우리나라 전통 구들과                    는 따뜻하다. 이즈바는 9세기경부터 짓기 시작하여 점

                  그 방식이 매우 유사하다.                                  차 러시아의 대표적인 건축 양식으로 자리 잡았다. 러시
                    기본 원리는 우리나라의 구들과 거의 같다. 아궁이에                  아에서 자생하는 소나무 같은 침엽수를 다듬지 않고 그
                  서 불을 지피면 고래(열기 통로)를 통해 열기가 전달된                  대로 끼워 맞춰 쌓아 올려 지었다. 통나무 사이는 건조
                  다. 다른 점은 구들은 방 전체를 난방하고 캉은 침대만                  한 이끼로 채우고 벽 내외부를 판자로 덮어 페인트칠한
                  난방한다는 것 정도이다. 캉은 고래와 굴뚝 사이에 열                   후 안쪽에 석고를 발랐다.
                  기 배출을 지연하기 위한 V 자 형태의 지연 턱이 있고,
                                                                    북부 지방은 남부 지방에 비해 눈이 많이 내리기 때문
                  굴뚝으로  연결되는  연도에  쇠로  만든  공기  조절판
                                                                  의 눈의 무게를 견딜 수 있도록 지붕의 경사가 급하고 창
                  (열기를 가두고 조절하는 장치)을 설치하는 것도 구들
                                                                  문이 작은 것이 특징이다. 내부에는 러시아풍 난로를 뜻
                  과 구분되는 점이다.              - 『농민신문』, 2018. 3. 2. -
                                                                  하는 페치카와 난로의 연기를 빼기 위한 창문을 2개 이
                   일본의 다다미와 이로리: 다다미는 나무로 된 바닥에
                                                                  상 설치하였다.              - 『바이러시아21』, 2018. 2. 19. -
                  접을 수 있는 깔개를 깔았던 것에서 유래하였다. 속에
                  짚을 5 ㎝ 두께로 넣고 위에 돗자리를 씌워 꿰맨 것으                     우리나라와 이웃 나라의 새해맞이
                  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띠고 있다. 다다미는 짚과 골풀                      우리나라의 설날: 복을 기원하며 떡국이나 만두를 먹
                  로 만들어져 습기가 많은 여름에는 습기를 흡수해 주                     고, 세뱃돈이나 덕담을 주고받는다. 긴 가래떡은 장수
                  고, 건조한 겨울에는 수분을 내보내 실내의 습도를 조                    를 뜻하며, 둥글게 썬 가래떡은 엽전을 닮아 새해에는
                  절하며 공기를 정화해 준다.                                  재물이 풍족하길 바라는 조상들의 소망에서 비롯된 것

                    이로리는 일본의 전통적인 불구덩이다. 마루 한가운                    이다.
                  데를 사각형으로 잘라 내고 그곳에 재를 깔아 취사용,                      중국의 춘절: 대문에 ‘복(福)’ 자를 거꾸로 붙여 놓는 풍
                  난방용으로 불을 피워 놓는다.                                 습이 있는데, 이는 “복이 들어온다.”라는 뜻이다. 중국
                                                                   사람들은 춘절에 “복을 싸서 먹는다.”라는 뜻으로 ‘자오
                    러시아의 전통 옷, 사라판                                 쯔’라는 만두를 먹기도 한다.
                   사라판은 소매가 없고 길이가 긴 치마가 가슴 부분까                      일본의 오쇼가츠: 일본 사람들은 신사나 절을 찾아 한
                 지 이어져 있는 점퍼스커트 형태의 드레스이다. 안에는                     해의 행운을 비는 것으로 새해를 시작한다. 아침 식사
                 흰 블라우스나 셔츠를 받쳐 입는다. 초창기에는 몸을 꽉                    로는 찹쌀로 만든 떡국인 ‘조니’를 먹는다. 어린이는 어

                 조이는 형태였으나,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으로 점점 폭                     른들께 새해 인사를 하고 ‘오토시다마’라고 하는 세뱃돈
                 이 넓어졌다. 지방마다 입는 방법이 조금씩 다르며 색상                    을 받는다.
                 도 다양하지만 주로 붉은색을 즐겨 입는다.                             오세치는 주로 우엉, 연근, 당근, 토란 등을 조린 것
                   사라판과 함께 코코쉬닉이라는 전통 머리 장식을 한                     이다. 섣달그믐에 만들었다가 정월 초하루부터 사흘간
                 다. 높이 솟아 있는 모양새는 하늘에 가까이 다가가려는                    먹는다. 정월 초사흘 동안 부엌에서 불을 쓰면 안 된다
                 종교적 의미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결혼식이나 축제 등                      는 헤이안 시대의 풍습을 따라 보통 도시락 같은 통에
                 특별한 날 즐겨 쓰는 장식품이다. 결혼하지 않은 여성은                    담아 놓는다.

                 머리카락을 뒤로 땋아 늘어뜨린 다음 코코쉬닉을 쓰며,                       러시아의 노비 고트: 러시아 국가 연주와 불꽃놀이로 새
                 결혼한 여성은 코코쉬닉 바깥으로 머리카락이 드러나지                      해의 시작을 알리면 러시아 사람들은 샴페인을 터뜨리고
                 않도록 쓴다.                                           덕담과 함께 선물을 주고받는다. 최근에는 ‘스카이 랜턴’
                       - 유만찬 외, 『갖고 싶은 세계의 인형』, 바다출판사, 2013. -     이라는 소형 열기구를 띄우면서 소원을 빌기도 한다.


                                                                                                         203
                                                                                       세계 여러 나라의 자연과 문화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