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6 - ele_math_5-1_tutor
P. 356
수 154쪽
수 학 참고 자료
알 기
조선의 산학
세종 대왕(1397 ̄1450)은 한글뿐만 아니라 수학도 중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세종 대왕이 나라를 다스릴 때 중요하게 생각한 일 중의 하나가 토지 조사였어요. 땅의 산학은 산술에 관하여 연구하는 학문이다. 세종(1397 ̄1450)
넓이를 정확히 조사하여 형편에 맞게 세금을 잘 거두어들여야 나라의 기반이 튼튼히
때의 산학 과목은 다섯 가지로 상명산, 양휘산, 계몽산, 오
다져지기 때문이에요.
조선 후기에 만든 『산학입문』과 『구일집』이라는 책에는 여러 가지 모양의 땅의 조산, 지산이 그것이다. 각각의 교과서는 『상명산법』, 『양휘
넓이를 구하는 문제들이 있어요. 그만큼 땅의 넓이나 세금을 계산하는 데
산법』, 『산학계몽』, 『오조산경』이었을 것이고, 지산은 측량술
수학의 역할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답니다.
『구일집』에 나오는 땅의 넓이를 알아보는 문제를 살펴보면 ‘보’라는 길이의 로 보인다. 『경국대전』에는 이 중에서 『양휘산법』, 『산학계
단위가 나와요. 길이의 단위를 ‘보’로 할 때 넓이의 단위는 몽』, 『상명산법』만을 산학 교과서로 기록하고 있다.
‘제곱보’지만, 당시에는 길이나 넓이 단위를 똑같이 ‘보’로
사용했어요.
출처: 김용운, 이소라, 『청소년을 위한, 한국 수학사』, 2019.
6보
『구일집』
지금 제전이 있는데, 대두는 8보, 소두는 6보, 높이는
12보이다. 넓이는 얼마인가?
12보 땅의 넓이를
정확히 조사하기 위해서는
제전: 사다리꼴 모양의 밭. 수학이 중요하지.
대두: 평행한 두 변 중 긴 변.
소두: 평행한 두 변 중 짧은 변. 8보
출처: 장혜원, 『조선 최고의 수학자들이 빚어낸 수의 세계, 수학 박물관』, 2010.
154 154 수학 5 - 1
20개정_초등_수학[516](119~154)_수정본-5교.indd 154 2022. 4. 26. 오후 2:55
수학 더 알기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1335 ̄1408)는 농지를 정리하고 분배하여 나라
의 경제적 기초를 튼튼히 하였다. 덕분에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땅이 고려 말기
에는 총 80만 결이었는데 조선 태종(1367 ̄1422) 때에는 100만 결이 되고,
세종(1397 ̄1450) 때에는 180만 결이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농사를 지을 땅
이 늘기도 했지만 측량을 더 철저히 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처럼 농지를 측량
하기 위해 조선 초기에는 산학을 배운 사람이 갑자기 많이 필요하게 되었다.
세종은 스스로가 앞장서서 산학을 공부했고, 학자와 관리들도 산학을 중요하
게 생각하였다고 한다. 세종은 직위가 높은 신하들에게도 산학을 배우게 했다.
출처: 김용운, 이소라, 『청소년을 위한, 한국 수학사』, 2019.
전자 저작물 활용
영상(만화) 자료 수록
354 수학 5-1 지도서
20개정_초등_지도서[516](291~354)_수정본-5교.indd 354 2022. 4. 27. 오후 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