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3 - ele_science_3-1_tutor
P. 193
• 동물에 따라 알이나 새끼를 돌보는 과정에서 암수의 수업 도우미 어류와 양서류의 대부분은 알을 낳고 그 장소를 떠나
역할이 어떻게 다른가요? 알을 돌보지 않는다. 새끼들이 알에서 깨어나 스스로 살아가야 하는
어류와 양서류 등은 한꺼번에 많은 알을 낳아서 위험한 환경에서도
- 암수가 함께 알이나 새끼를 돌보는 동물도 있습니
자손이 살아남을 수 있도록 한다. 2
다. 제비, 찌르레기, 황제펭귄, 두루미 등
단원
정리
알이나 새끼를 돌볼 때 동물의 암수 역할 정리하기
확인해요
▲ 제비 ▲ 찌르레기
1 동물에 따라 알이나 새끼를 돌보는 과정에서 암
수업 도우미 새의 대부분은 암수가 함께 알과 새끼를 돌보는데 그
수가 하는 역할이 ( 비슷합니다, 다양합니다 ).
까닭은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이 스스로 먹이를 구하거나 움직일 수
2 사고 펭귄은 새끼를 돌보는 과정에서 암수가 어
없기 때문이다.
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해 봅시다.
- 암컷이 혼자서 새끼를 돌보는 동물도 있습니다.
곰, 소, 산양, 바다코끼리 등 지도 방향 새끼가 자라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지 생각해 보
고, 펭귄의 암수가 새끼 펭귄이 자라는 데 어떤 도움을 줄
지 생각해 보게 한다.
예시 답안 •먹이를 구해 새끼에게 먹이며 돌본다.
• 적으로부터 새끼를 보호한다.
• 걸음마를 가르친다.
• 헤엄치는 방법을 알려 준다.
▲ 산양 ▲ 바다코끼리 풀이 알에서 새끼가 태어나면 암컷과 수컷이 번갈아 가
수업 도우미 포유류의 대부분은 암컷의 몸속에서 오랜 기간 새끼 며 물고기 토막과 같은 먹이를 구해 새끼에게 먹인다.
가 자라고, 태어나서 어미젖을 먹고 자라기 때문에 암컷이 새끼를 돌
보는 경우가 많다.
- 수컷이 혼자서 알을 돌보는 동물도 있습니다. 가
시고기, 꺽지, 물자라, 물장군 등
1 동물의 암수 단원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스스로
빈칸에 색칠해 봅시다.
다양한 동물의 암수에 따른 특징을 동물별로 비교
▲ 가시고기 ▲ 물장군
최고야 하여 번식 과정에서 암수의 역할이 다양함을 설명
- 적당한 곳에 알을 낳은 뒤 돌보지 않고 떠나는 동 할 수 있다.
물도 있습니다. 거북, 자라, 노린재, 개구리 등 동물의 암수에 따른 특징을 조사하여 동물별로 차
잘했어 이점을 비교할 수 있다.
동물의 암수에 따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아쉬워
평가 길잡이 성취기준, 평가기준과 연계한 평가 방법
학생들이 색칠한 결과는 성취기준, 평가기준과 연계하여 상중하로
▲ 노린재 ▲ 개구리 나눌 수 있다.
1 동물의 암수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