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5 - ele_science_4-2_tutor
P. 365

확인해요                                           평가 목표    물 부족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지도 사항    물 부족 현상을 일으키는 원인을 상기시킨다.
                   1   물이 많이 증발하거나 비가 적게 내리는 자연
                                                                     풀이  자연환경에 따라 물이 많이 증발하거나 비가 적게 내리는
                     환경, 인구 증가, 산업 발달 등으로 물이 점점                                                                    5
                                                                    지역이 있어 물이 부족해진다.
                     ( 부족 )해집니다.                                                                                   단원
                   2   사고   물이 순환하는 과정에서 비가 내리는 양이
                                                                  3  다음은 인구의 변화를 나타낸 것입니다.
                     지역마다 다릅니다. 비가 적게 내리는 지역에서
                     는 어떤 문제가 생길지 생각해 봅시다.
                      지도 방향  물을 이용하는 예에서 물의 순환 과정을 생각해
                     보게 한다.
                      예시 답안  •강물이 마른다.
                     •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
                     • 사람들이 마시거나 이용할 수 있는 물이 부족하다.
                      풀이  비가 적게 내리면 강이나 호수의 물이 줄어들고, 식               이 그림에서 알 수 있는 물 부족 현상의 원인을 설명
                     물의 뿌리에 흡수되는 물의 양이 줄어든다.                        해 봅시다.
                                                                     예시 답안  인구가 증가해서 물 이용량이 점점 많아지기 때문에
                                                                    물이 부족해진다.

                                                                      평가 목표    물 부족 현상의 원인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형성   평가                                              인정 답안    사람 수가 많아져서 물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표
                                                                               현하면 정답으로 인정한다.
                 1   다음 중 물의 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어느
                                                                               설명이 적절한지 유의하여 평가한다.
                   것입니까?                           (   ②    )
                                                                                        평가기준            배점(%)
                   ① 가축을 기를 때 물이 필요하지 않다.                                      인구 증가로 물 이용량이 증가한다는

                   ② 물은 생명을 유지하는 데 꼭 필요하다.                            유의 사항    의미로 옳게 설명한 경우             100
                   ③ 물은 우리 생활에 거의 필요하지 않다.                                     인구 증가의 내용을 포함하지 않고 단
                   ④ 농사를 지을 때 물을 이용하지 않는다.                                     순히 물이 더 많이 필요하다고 설명한       40
                                                                               경우
                   ⑤ 공장에서 물건을 만들 때 물을 이용하지 않는다.
                                                                     풀이  인구가 증가하면 물 이용량이 늘어나 물이 부족해진다.
                     평가 목표    물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할 수 있다.
                              물은 우리 생활에서 다양한 곳에 이용된다는 것
                     지도 사항
                              을 알고, 물을 이용하는 예를 찾아보게 한다.
                    풀이  물은 우리 생활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며,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참고  자료

                 2  다음은 물이 부족해지는 까닭에 대한 설명입니다.                    사막화 현상 때문에 물이 부족한 지역
                   (     )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써 봅시다.                    사막화란 사막 주변 지역의 토지가 기후 변화, 인간

                                                                  활동 등의 영향으로 황폐해져 점차 사막으로 변하는 현
                      인구가 증가하고 산업이 발달하면서 우리가 이용
                                                                  상을 말한다. 사막화를 유발하는 인간 활동에는 과잉 경
                     하는 물의 양이 늘어난다. 또, 자연환경에 따라 물이
                                                                  작, 과잉 방목, 무분별한 삼림 파괴 등이 있다. 일단 사
                     많이 증발하거나 (            )이/가 적게 내리는 지
                     역이 있다.                                       막화가 진행되면 물이 부족해 농작물을 재배하거나 가
                                                                  축을 기를 수 없기 때문에 그 지역은 기근과 기아에 시
                                          (        비        )     달리게 되고, 이로 인한 이주로 난민이 발생할 수 있다.

                                                                                     2   물 부족 현상의 해결       363
   360   361   362   363   364   365   366   367   368   369   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