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1 - ele_science_5-1_tutor
P. 161
단원의 성취 기준 상세화
영역 / 핵심 개념 성취 기준, 탐구 활동 학습 요소 차시명
단원 열기 별을 비추는 어둠상자
만들기
에너지원 1 태양은 지구에 어떤 영향을 줄
6과 02-01 태양이 지구의 에너지원임을 이해하고
으로서 태양 까요
태양계를 구성하는 태양과 행성을 조사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태양계 행성들의 상대적 크기와 거리 비교 태양계 행성,
2 태양계 행성은 어떤 특징이 있
하기 행성의
을까요
크기와 거리
우주 / 태양계의 3
태양계 행성, 3 행성과 별은 어떤 점이 다를 단원
구성과 운동, 6과 02-02 별의 의미를 알고 대표적인 별자리를 별의 정의 까요
조사할 수 있다.
별의 특성과 별자리,
탐구 활동 밤하늘에서 행성과 별의 관측상의 차이점 4 북쪽 하늘의 대표적인 별자리
진화 북쪽 하늘
찾아보기 는 무엇일까요
별자리
6과 02-03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북쪽 하늘
5 북극성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
찾을 수 있다. 별자리,
까요
탐구 활동 별자리를 이용한 방향 찾아보기 북극성
창의 · 융합 활동 태양계 행성 탐사
계획하기
단원 마무리하기
성취 기준 해설 • 6과 02-01 태양계를 구성하는 행성들의 표면적인 특징 위주로 조사하고, 행성의 상세한 물
리적 특징은 다루지 않는다. 태양과 행성의 실제 크기나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실제 거리,
행성의 질량, 자전 속도, 대기 성분 등과 같은 물리량은 다루지 않는다.
• 6과 02-02 별의 의미는 행성과 비교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천체라는 수준에서만 다룬다.
대표적인 별자리는 학생들이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북극성 주변의 별자리를 다루며, 계절별
별자리와 관련짓지 않는다.
• 6과 02-03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게 함으로써 별자리가 방
위를 찾는 데 이용됨을 다룬다.
교수·학습 방법 및 • 태양계와 별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호기심의 대상으로, 학생들이 조사한 내용을 중심으로
유의 사항 한 탐구 활동의 좋은 소재가 된다. 따라서 이 단원에서는 태양계의 크기와 태양으로부터
행성까지의 거리 등에 관한 조사 활동을 통하여 태양계의 광대함을 체감하도록 한다.
• 모형이나 시청각 자료, 천체 관측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천체에 대한 공간적 이해를
도울 수 있다. 특히 야간에 별이나 행성 등을 관찰할 경우 안전 사항을 준수하도록 한다.
• 이 단원은 초등학교 3 ̄4학년군의 ‘지구의 모습’, 5 ̄6학년군의 ‘지구와 달의 운동’, 중학교
1 ̄3학년군의 ‘태양계’, ‘별과 우주’와 연계된다.
평가 방법 및 • 구체적인 조사 관점을 제공하여 태양계 행성이나 별자리를 조사·발표하도록 과제를 제시
유의 사항 하고 그 결과물을 평가할 수 있다.
• 북쪽 하늘의 별자리에서 북극성을 찾을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수행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
3. 태양계와 별 159